Surprise Me!

수교 30년...잇단 악재에 중국 내 우리 국민 '급감' / YTN

2022-10-01 1,705 Dailymotion

한국과 중국은 올해로 수교 30주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두 나라는 인적·물적 교류를 활발히 해왔지만, 최근엔 중국에 거주하는 우리 국민이 눈에 띌 정도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 박준 리포터가 현 상황과 전망을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중국 선전시의 대단지 아파트. <br /> <br />한때는 한국인으로 북적이던 곳이지만, 지금은 한국인을 찾아보기 힘듭니다. <br /> <br />한국 기업으로 가득했던 맞은편 건물에서도 한국어 간판이 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[정판섭 / 부동산 중개인 : 한국 식품, 한국 식당, 그리고 미장원, 심지어 골프 연습장까지 많은 한국 편의시설들이 들어오면서 한국계 은행들도 이쪽으로 많이 입점했습니다. 코로나 이후에는 거의 한국사람들이 빠져나가서 동해화원 주변이 한인촌이라는 말이 거의 무색하죠.] <br /> <br />한인 사회는 중국이 급속도로 발전하던 2005년 무렵 한국 기업과 사업가들이 중국에 진출하면서 크게 성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한때 50만 명이 넘던 중국 내 우리 국민 수는 현재 절반 수준으로 줄었습니다. <br /> <br />요인은 크게 두 가지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2016년 사드 배치 논란으로 갈등이 빚어지자 중국이 경제 보복에 나섰고, <br /> <br />최근에는 코로나19로 경기 성장세가 둔화한 데다 시장이 내수 중심으로 바뀌면서, 기술력을 쌓은 중국 기업들이 한국과의 본격 경쟁에 나섰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신동주 / 의류회사 운영 : 많이 팔 때는 2만 장 3만 장도 판매할 수 있었는데 지금 같은 경우에는 만 장 팔면 정말 많이 판다고 할 정도로, 현재 중국 업체들은 스스로 개발을 한 제품들을 중국 내수시장에서 소비하고자 하는 욕망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…] <br /> <br />[배요셉 / 커피전문점 운영 : (코로나 봉쇄 당시) 중국 업체들은 보조금이 나왔지만, 한국 업체는 보조금을 받지 못했으니까 적자 일변도로 가면서 문을 닫는 그런 사례가 다수였다고 봅니다.] <br /> <br />사드 배치와 코로나19, 여기에 미-중 갈등까지 위기가 이어지며 피해가 커지자, 한인 사회에서는 중국의 경제 구조 변화에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[김관식 / 광저우 한인상공회장 : 사드 이후에 많이 힘이 들었는데 코로나로 인해서 직격탄을 맞았다고 보시면 됩니다. 그래서 앞으로는 확실한 사업 기반이나, 또는 기술 경쟁력이 있는 한국 분들만이 중국에서 살아남을 수 있지 않을까…] <br /> <br />30년간 한국과 중국 간 경제 교류에 앞장서며 가교 역할을 했지만 최근 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준 (kwonjs101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00202012788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