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 문제를 논의하기 위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가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렸습니다. <br /> <br />이사국 대부분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을 규탄했지만 중국과 러시아는 북한 탓만 할 수 없다며 추가 제재에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특파원 연결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. 권준기 특파원! <br /> <br />북한 미사일 발사를 놓고 유엔 안보리 회의가 열렸는데, 어떤 얘기가 오갔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우리 시간으로 새벽 4시부터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회의에서는 북한의 이번 중거리 탄도미사일 발사에 대한 이사국들의 규탄 발언이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회의 시작과 함께 시작된 켈레드 키아리 유엔 사무차장의 브리핑에서는 북한이 사거리 4,500km에 달하는 미사일을 발사했다며 무모하고 위험한 도발이라고 비판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 지역과 국제사회 안보를 위협하고 긴장을 고조시킨다며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회의를 가장 먼저 소집한 미국 측 린다 토머스-그린필드 유엔 대사는 북한이 올해 들어서만 미사일 39발을 발사해 이전 기록이었던 25발을 이미 넘어섰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명백한 안보리 결의 위반인 만큼 북한에 대한 국제 사회 공동 대응을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진 이사국들의 발언에서도 이번 미사일 발사를 비롯해 북한의 7차 핵실험 준비와 북한 내 인권 문제 등에 대한 비판이 잇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나라와 일본은 이번 안보리 회의에 이해당사국 자격으로 참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황준국 유엔주재 한국대사는 회의 발언에서 북한 미사일 도발을 규탄하면서도 우리 정부가 제안한 '담대한 구상'을 북한이 받아들여 대화의 장으로 나오길 촉구했습니다. <br /> <br />안보리 회의는 1시간 반 정도만에 공개 회의가 끝나고 지금은 비공개 회의로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북한이 안보리 결의를 위반했다는 점은 여러 차례 지적된 것 같은데 추가 제재안 결의도 가능할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공개회의 마지막 발언은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했는데, 여기서 두 나라는 이번 북한 미사일 발사 배경을 다른 이사국들과 정반대로 해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최근 한반도에서 한미, 한일 연합 군사훈련이 잇따라 열렸고, 이 때문에 북한이 안보 위협을 느껴 미사일을 발사했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북한 문제는 ... (중략)<br /><br />YTN 권준기 (jkwo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00606325603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