러시아, 우크라이나 사흘째 공습…민간·기반시설 노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치적을 상징하는 크림대교가 공격받은 이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를 비롯한 전역에서 사흘째 공습을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민간, 기반시설이 큰 피해를 입었다고 하는데요.<br /><br />보도국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러시아는 지난 8일 크림대교 폭발 이후 이틀 만인 10일 오전 출근 시간에 수도 키이우 도심에 미사일을 쏟아부은 데 이어 사흘째인 12일 오전까지 곳곳에서 공습을 이어갔습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도 이날 헤르손 등 러시아 점령지를 대상으로 반격을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어제 러시아가 쏜 미사일 12발이 떨어진 자포리자에서는 학교와 의료 시설, 거주 지역 등이 파괴되고 정전 피해가 잇달았습니다.<br /><br />서부 르비우는 전력과 수도 등 기반시설이 공격을 받았고, 빈니차주에서는 화력 발전소가 피해를 봤습니다.<br /><br />공습에 따른 사상자는 이날까지 사망자 20명, 부상자 100여명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외신들은 러시아의 보복공격이 에너지와 상수도 등 기반시설을 목표로 한 것에 주목했습니다.<br /><br />겨울을 앞두고 난방과 전기를 끊음으로써 우크라이나 국민들을 어려움에 빠뜨리려는 의도라는 겁니다.<br /><br />우크라이나는 전체 에너지 시설의 30%가 피해를 입었다며 유럽에 대한 전력 수출을 중단했습니다.<br /><br />주요 7개국, G7 정상들은 러시아의 무차별 공습을 강력하게 규탄했고,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현대적인 방공 시스템을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미국은 백악관 방어용으로 쓰이는 첨단 지대공 미사일 나삼스를 신속히 보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수세에 몰린 푸틴 대통령이 자국 영토 보호를 위해서는 모든 수단을 동원하겠다고 경고하면서 핵 위기가 고조됐었는데요.<br /><br />다행히 이에 대한 우려는 잦아들고 있다고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그렇습니다.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크림대교 폭발 전날인 지난 7일만 해도 핵 위기가 냉전 이후 최고조에 달했다며 인류 최후의 전쟁을 뜻하는 '아마겟돈'을 언급하기도 했었는데요.<br /><br />한국시간으로 오늘 오후 방송된 CNN 인터뷰에서 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이 핵무기를 사용할 것이라고 생각하지는 않는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은 푸틴 대통령을 '상당한 오판을 한 이성적인 행위자'라고 표현하기도 했는데요.<br /><br />이는 우크라이나 침공을 비판하면서도 핵전쟁이라는 비이성적인 행동은 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와 경고가 반영된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영국의 정보기관 역시 러시아군의 현 상황을 절망적이라고 평가하면서 핵무기 사용은 먼 일이라는 견해를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미와 유럽의 안보동맹인 북대서양조약기구 나토 역시 러시아의 핵전력을 면밀히 감시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태세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크림대교 #나삼스 #키이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