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 8월 중부지방에 내린 폭우로 서울 개포동에 있는 대모산에 산사태가 발생했는데요. <br /> <br />벌써 두 달이 지났지만, 아직 등산로 입구에는 토사가 쌓여있는 등 복구는 제자리걸음이라 큰비가 내릴 경우 추가 피해도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안동준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개포동에 있는 대모산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폭우가 내린 지 두 달이 지났는데, 그곳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보시는 것처럼 이곳 대모산은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초토화된 흔적이 지금도 그대로 남아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가 지금 서 있는 이곳은 두 달 전까지만 해도 주변 주민들이 산을 오를 때 이용하던 등산로인데요. <br /> <br />바닥에는 이렇게 산 위에서 휩쓸려 내려온 돌덩이와 나무토막이 잔뜩 쌓여있어 등산로 진입이 어려울 정도입니다. <br /> <br />제 옆에는 등산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야외 운동기구들이 있습니다. <br /> <br />마찬가지로 돌덩이에 나무 가지들이 엉켜 지금은 사용할 수 없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두 달째 등산로를 이용하지 못하게 되자 시민들 불편도 이만저만이 아닌데요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김대성 / 서울 양재동 : 저희가 장기 바둑도 두고 놀던데 에요. 여름에 그늘에. 그런데 폐허가 되니까 굉장히 불편하죠. 장애물 같고 등산로가 아니라 장애물이죠 이게. 빨리 좀 복구 좀 됐으면….] <br /> <br />대모산은 지난 8월 폭우 당시 산사태로 토사가 등산로 입구까지 밀려 내려왔지만, 두 달이 넘도록 복구 작업 없이 방치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강남구는 피해가 너무 크고, 설계나 심사 등 거쳐야 할 절차가 많아서 복구가 늦어지고 있다면서 오는 12월부터 정식 복구공사를 시작할 방침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 응급복구를 위한 공사를 발주해 이달 말부터는 임시 통행로도 개설할 예정이라고 덧붙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이미 토사가 대모산 아래까지 밀려 내려와 있는 상황에서 안전 조치라고는 출입을 통제하는 현수막과 테이프가 전부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 10여m 떨어진 곳에는 3차선 도로도 있어 자칫 큰비나 태풍이 오면 추가 산사태 피해가 발생할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 /> <br />11년 전 60여 명이 숨지거나 다친 우면산 산사태의 경험이 있는 만큼 피해 예방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 개포동에 있는 대모산에서 YTN 안동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... (중략)<br /><br />YTN 안동준 (eastjun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013162125151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