부동산업에서 제2의 로톡 사태?…중개사·플랫폼 맞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스마트폰에서 변호사 프로필을 보고 사건을 맡기는 '로톡'을 변호사협회가 고발하며 논란이 벌어졌었죠.<br /><br />지금 부동산에서도 스마트폰 앱을 통한 중개 서비스 같은 이른바 '프롭테크'기업과 중개사단체간에 비슷한 논란이 진행 중입니다.<br /><br />어떤 점이 논란인지 최덕재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변호사협회가 "광고료에 따라 노출도가 올라 수임질서를 해친다"며 로톡 운영사인 로앤컴퍼니를 고발한 '로톡 사태'.<br /><br />로앤컴퍼니는 헌법소원까지 내며 맞섰지만 명확한 결말이 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정보통신기술 발달로 변호사 수임도 플랫폼으로 가능한 시대가 되면서 이해 충돌이 벌어진 건데, 비슷한 일이 지금 부동산 업계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부동산 자산과 기술에 해당하는 영어단어 합성어 '프롭테크'사업을 벌여온 기업들과 공인중개사단체간 대립이 커질 조짐을 보이는 겁니다.<br /><br />스마트폰 중개앱과 공인중개사단체간 갈등은 있어왔지만 확전의 발단은 지난 4일 국회에선 발의된 공인중개사법 개정안입니다.<br /><br />공인중개사단체에 불법행위 단속권을 주도록 한 조항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반값 중계 수수료라든지 그런 혜택들도 프롭테크 업계들의 혁신적인 서비스였는데…계속되기 어렵다는 우려가 있습니다."<br /><br />반면, 공인중개사협회는 무등록 중개 등을 막아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라며 맞섭니다.<br /><br /> "좀 과민반응 하는 것이 아닌가…"<br /><br />전문가들은 편리함과 경제성을 갖춘 기술 기반 혁신서비스의 등장은 불가피하다고 강조합니다.<br /><br /> "기존 사업자에게 위기가 되기도 하지만 혁신을 통해서 새로운 확장 가능성이 있습니다."<br /><br />다만, 과거 '타다'를 둘러싼 갈등에서 보듯, 이익 침해를 주장하는 기존업계와 규제 완화를 원하는 혁신기업 간 타협점을 찾을 시스템의 부재가 갈등 증폭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최덕재입니다. (DJY@yna.co.kr)<br /><br />#공인중개사 #로톡_사태 #프롭테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