해외 빅테크도 사고 있었다…"신속 복구 시스템 중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카카오의 데이터센터 화재로 관련 서비스가 전면 중단되면서 전 국민이 불편을 겪었는데요.<br /><br />이런 데이터센터 사고는 해외 빅테크 기업들도 예외는 아니라고 합니다.<br /><br />해외 빅테크 기업들의 크고 작은 사고를 김태종 특파원이 전해드립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전 세계 곳곳에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있는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, 구글.<br /><br />이들 빅테크는 데이터센터를 다른 기업에 빌려주는 '클라우드 서비스'를 통해 많은 이익을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시장조사업체 가트너의 추정치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아마존의 데이터센터 시장점유율은 38.9%, 마이크로소프트(MS)는 21.1%, 구글은 7.1%를 차지합니다.<br /><br />클라우드 서비스를 하는 만큼 보안에 만전을 기하지만 사고가 없는 것은 아니었습니다.<br /><br />아마존은 2011년 4월 미 동부 지역에 있는 데이터센터에서 예기치 못한 정전이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데이터센터 가동은 중단됐고 복구까지는 만 하루가 걸렸습니다.<br /><br />당시 아마존의 서비스를 이용하던 미국 대형 소셜 뉴스 웹사이트 레딧과 뉴욕타임스 등 유명 기업들의 사이트는 하루 이상 다운됐습니다.<br /><br />일부 사이트는 복구까지 4일이 걸렸습니다.<br /><br />2012년 6월에는 태풍으로 서버 전력공급이 끊기면서 4시간 동안 아마존 클라우드 서버를 이용하는 인스타그램이 먹통이 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12월에는 미국 동부 해안에 있는 데이터 서버가 세 차례 정전됐습니다.<br /><br />일시적이긴 했지만, 미국 최대 가상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의 앱과 홈페이지에서 일부 가상화폐 거래가 지연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6월 미 동부 버지니아에 있는 데이터센터에서 전력 시스템 문제가 발생해 12시간 만에 복구했습니다.<br /><br />구글의 경우 지난 8월 런던 지역을 커버하는 데이터센터가 기록적인 폭염에 따른 전력공급 차질로 일시 가동이 중단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전문가들은 데이터센터도 정전이나 재난 등으로 사고가 날 수 있지만, 이를 빨리 복구할 수 있는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샌프란시스코에서 연합뉴스 김태종입니다.<br /><br />#카톡_먹통 #구글 #아마존 #마이크로소프트 #카카오톡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