아침·저녁으로 불어오는 찬 바람에 겨울이 찾아오고 있다는 게 느껴지는데요. <br /> <br />연탄으로 추위를 버텨야 할 이웃들에겐 특히 이번 겨울이 길게만 느껴질 것 같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에 이어 물가 오름세가 이어지면서 연탄 후원도 대폭 줄었기 때문인데요. <br /> <br />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 김태원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중계동 연탄은행 창고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김 기자 뒤로 연탄 창고가 보이는데, 그곳에 기부된 연탄이 얼마나 쌓여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제 뒤로 보이는 연탄은행 창고는 연탄 5천여 장 정도가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인데요. <br /> <br />그런데 지금은 고작 백여 장 정도가 쌓여 있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이전만 하더라도 이곳 중계동 백사마을에 있는 창고 두 곳엔 연탄을 가득 채울 정도로 후원이 들어왔다는데요. <br /> <br />올해 들어 후원이 급감하면서 연탄창고에는 찬 바람만 불고 있는 겁니다. <br /> <br />해마다 겨울을 앞둔 10월이면 연탄 20만 장 정도가 기부로 들어왔다는데요. <br /> <br />이번 달 연탄은행에 들어온 연탄은 고작 3만 장에 불과합니다. <br /> <br />예년과 비교하면 거의 80%가 줄어든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확산에 이어 5%를 넘나드는 물가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낀 후원자들이 기부를 중단한 겁니다. <br /> <br />연탄은행 관계자의 설명을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김순예 / 밥상공동체 복지재단 연탄은행 사무총장 : 고금리 고물가로 서민들의 삶이 많이 어려워지다 보니까, 연탄 나눔에도 적극적이던 후원자분들께서도 당분간만 후원을 멈춰달라고….] <br /> <br />당장 기부받은 연탄으로 추위를 버텨야 하는 '에너지 빈곤층'들은 다가오는 겨울이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 서울에서 연탄으로 난방을 해결하는 사람들은 모두 천6백여 가구 정도이고, 전국으로 넓혀보면 무려 8만 천여 가구에 이릅니다. <br /> <br />그 가운데 기초생활수급자가 30%, 차상위 계층 가구가 10% 정도이고, 자녀 부양을 받지 못하는 노인 등 소외 가구가 44%로 대부분 경제적으로 열악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또, 연탄을 쓰는 가구 대부분이 근로 소득이 마땅찮은 80대 어르신들이고, 정부지원금에 의존하고 있는 분들도 많은 탓에 연탄보다 비싼 기름 보일러를 들이지도 못합니다. <br /> <br />물가 고공 행진의 여파로 소비심리와 함께 기부 손길마저 얼어붙으면서, 어려운 이웃들의 마음도 그 어느 때보다 시리고 찬 겨울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원 (woni04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02416393207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