채권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건설 현장에서 주요 자금줄 역할을 하는 프로젝트 파이낸싱, PF 대출이 멈추다시피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중소 업체를 시작으로 연쇄 부도가 진행되고 있다는 목소리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최기성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기도 화성시 장안면에 있는 8만5천㎡ 땅입니다. <br /> <br />1,500가구 규모 아파트가 들어설 예정이었지만, 시행사가 3천3백억 원 규모 PF 대출을 갚지 못하면서 공매로 넘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[해당 사업 시공사 관계자 : 시행사에서 금융 PF 때문에 문제가 생긴 겁니다. 제가 알기로는 그전에 시행사에서 다른 데 채무가 좀 있었던 걸로 알고 있어요.] <br /> <br />PF 대출을 받지 못하거나 이자를 갚지 못하는 사례는 최근 건설 업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PF 대출은 준공되지 않은 자산에 대한 대출이라, 부실이 발생하면 자금 회수가 어렵습니다. <br /> <br />이마트 부천 중동점 인수에 나선 한 시행사는 납부일이 두 달 넘게 지나도록 매각 잔금 3,430억 원을 내지 못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형 건설사 역시 예외는 아닙니다. <br /> <br />서울 둔촌주공 아파트 재건축 현장도 7천억 원 규모 PF 대출을 연장하지 못해 시공사업단이 사업비를 상환하기로 했습니다 <br /> <br />연체 규모도 증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카드사와 증권사, 보험사의 연체 잔액과 연체율 모두 지난해보다 크게 늘었습니다. <br /> <br />PF 대출 평균 금리가 지난해 6%에서 올해는 12%로 두 배 가까이 치솟았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말합니다. <br /> <br />[시행사 관계자 : 이자를 50억 내야 되는데 100억을 내게 되면 수익에서 50억이 마이너스 되는 거잖아요. 부도가 이미 많이 나고 있다고 전 보고 있습니다. 작은 곳도 아니고 큰 곳들도 나고 있고요. 대구 (부동산) 시장은 일곱~아홉 군데가 이미 공매 중입니다.] <br /> <br />착공 자체가 힘들어지는 사업장이 늘어나면서 주택 공급 부족으로 이어질 거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대형 건설사 관계자 : 재개발·재건축 사업을 포함한 분양 사업 자체가 힘들어지게 됩니다. 아무래도 자금력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중소 시행사나 조합 사업부터 사업 진행에 어려움이 따르지 않을까….] <br /> <br />원자재 가격 상승과 금리 인상, 부동산 시장 악화 등이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[김정주 / 한국건설산업연구원 경제금융연구실장 : 금리 인상이 수분양자들한테 금융 조달 비용을 높여서 분양 의지를 이제 좀 약화시키는 경향이 있고요. 또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기성 (choiks7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02505040039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