보증 선 부동산 PF 대출·자산유동화 증권 우려↑ <br />절반 이상 부동산 관련 채무…일부는 자본의 5배<br /><br /> <br />올해 우리 경제의 뇌관으로 꼽히는 게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등 부동산 관련 대출 부실입니다. <br /> <br />비은행권에서 부동산 PF에 얽힌 돈만 115조 5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요, 부실 위험은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해부터 부동산 시장이 빠르게 얼어붙으면서 건설업계는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상장 건설사 72곳 대부분이 1년 전보다 재무 건전성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자를 감당하지 못하는 한계기업이 3분의 1에 달했고, 현금 부족으로 유동성 문제가 우려되는 기업도 18%가 넘었습니다. <br /> <br />더 큰 문제는 이들이 보증을 섰던 부동산 PF 대출과 자산 유동화 증권입니다. <br /> <br />돈을 못 갚게 되면 채권을 발행한 금융기관도 타격을 받게 돼 금융 불안으로 전이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비은행권 전반에서 부동산 PF 대출에 물린 돈이 115조 5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건설사 72곳 중 44곳이 부동산 관련 채무를 지고 있고, 32곳은 부동산 PF나 자산 유동화 증권 채무 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 4∼5곳은 자기 자본의 5배가 넘는 빚을 떠안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활황이던 시장만 믿고 확장한 사업들이 몇 년 사이 시한폭탄이 된 겁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비은행권이 참여한 PF 사업장 리스크는 2년 전보다 껑충 뛰었고, 연체율은 1년 사이 2배로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[김인구 / 한국은행 금융안정국장 : 부동산 PF 부실 우려 등으로 인해 부동산 리스크가 큰 일부 비은행금융기관의 신용 및 유동성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입니다.] <br /> <br />한국은행은 대부분 금융기관이 아직 규제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면서도 부실 사업장 구조 조정을 서둘러 불확실성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지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323221421523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