압사 사태 왜 커졌나…책임자 없고 경찰력도 분산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핼러윈데이를 맞아 이태원에는 일찍부터 수만 명의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혹여나 모를 사고 등에 대비할 책임자나 주최 측은 이번 축제에서 아예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방문객들이 알아서 조심할 수밖에 없었다는 이야깁니다.<br /><br />소재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축제 열기로 가득찼던 이태원 일대에서 벌어진 대형 참사.<br /><br />수 만명의 인원이 좁은 공간에 모일 것으로 예상됐지만 이들을 통제하고 안전을 관리할 책임자나 이벤트 주최 측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방문객이 급증하자 이태원 상인들이 자체적으로 질서유지에 나섰지만 몰려드는 인파를 통제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.<br /><br /> "(당부가) 있었죠. 왜냐면 금요일에도 사람이 많았기 때문에 가드 등 웬만하면 질서 유지하라고 말을 했죠. 우리가 어떻게 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잖아."<br /><br /> "안전조치를 철두철미하게 해달라. 여기서는 체계적으로 진행됐어요. 그런데 저기 앞쪽에서 문제였어요, 압사사고가."<br /><br />일각에선 경찰관과 구청 인력을 더 많이 배치했다면 최악의 사태는 막았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.<br /><br />다만, 당국은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해 해결될 문제는 아니었다면서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그러면서 어제 양대노총 등이 주최한 집회 등으로 경찰 인력이 분산됐다고 해명했습니다.<br /><br /> "서울 시내 곳곳에서 여러 가지 소요와 시위가 있었기 때문에 이런 곳으로 경찰 경비병력들이 분산됐던 그런 측면들이 있었습니다"<br /><br />사고 이후에도 현장 부근으로 계속 인파가 몰려 구조를 늦추게 한 것도 참사를 키운 한 요인으로 지목됩니다.<br /><br />경찰은 관련 자료 분석을 통해 정확한 사고 원인 파악에 주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소재형입니다. (sojay@yna.co.kr)<br /><br />#이태원 #압사 #참사 #사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