외국 문화 체험해보려 학생도 많이 참여 <br />학교에선 안전 주의 공지나 교육 없어 <br />"밀집지역 안전교육 시급"<br /><br /> <br />이번 이태원 참사로 중·고등학생도 6명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학생들이 많이 찾는 축제임에도 군중 밀집지역에 대한 안전교육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김현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태원 참사는 어린 학생들의 목숨도 앗아갔습니다. <br /> <br />당시 사고에 휩쓸린 학생은 모두 10여 명. <br /> <br />이 가운데 중학생 1명과 고등학생 5명이 사고 현장을 벗어나지 못하고 끝내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과 경기도, 울산 지역 교사 3명도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[조희연 / 서울시교육감 : 서울 교육가족을 대표해서 정말 심심한 위로와 또 명복을 빕니다. 정말 형언할 수 없는 슬픔과 충격을 받았을 우리 희생자 가족 여러분께도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.] <br /> <br />핼러윈데이는 'MZ 명절'이란 말이 있을 정도로 10대와 20대에겐 익숙한 축제입니다. <br /> <br />특별한 분장을 하고 외국 음식이나 문화를 체험해 보는 날로 여겨져 학생들도 많이 찾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좁은 지역에 사람이 몰리면 사고가 나기 쉽지만 주의하라는 공지도, 안전 교육도 부족했단 겁니다. <br /> <br />초중고 7대 안전교육 가운데 재난 안전교육이 있지만, 화재나 폭발, 붕괴, 테러 감염병에 대한 것만 있고 밀집지역 압사에 대비한 안전 교육은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같은 압사 사고는 그동안 콘서트장이나 스포츠 경기장 등에서 발생했고, 그때마다 안전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됐지만 달라지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[최규출 / 동원대 소방안전과 명예교수 : 초등학교는 13시간 정도의 안전교육을 받도록 돼 있고요. 중고등학교, 대학생들은 10시간 정도 안전교육을 받게 되어 있는데 이런 교육들이 온라인이나 이론교육 중심으로 흘러가고 현장에서 실천하는 교육이 부족한 게 현실인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1제곱미터에 5명 이상이 들어서면 자기 뜻대로 움직이기가 어렵고, 특히 경사로에선 한 사람이 비틀거리기만 해도 혼란이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호흡이 어려워질 경우 복싱 자세처럼 가슴 앞쪽에 팔을 올려 숨 쉴 공간을 확보하란 조언도 있지만, <br /> <br />이번 사고처럼 사람이 너무 밀집되고 혼란이 큰 상황에선 사실상 실효성이 없는 만큼 안전 교육을 강화해 위험 신호를 사전에 인지하고 미리 피하도록 하는 게 중요합니다. <br /> <br />YTN 김현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[YTN은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의 명복을 빕니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현아 (kimhaha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031215856186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