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태원 참사로 트라우마 우려…외국은 어떻게 관리하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태원 참사로 유가족과 부상자, 목격자, 응급구조자 등이 겪는 트라우마는 엄청날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규모에 차이는 있지만 외국은 대형 참사 이후 정신건강을 어떻게 관리하는지에 관심이 쏠립니다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약 3천 명이 숨지고 최소 6천 명이 다쳐 미국 역사상 최악의 사건으로 기록된 2001년 9.11 테러.<br /><br />20년이 지났지만, 목격자들은 여전히 그날의 악몽을 잊지 못하고 있었습니다.<br /><br /> "위협은 실제이며, 위협은 영원히 계속될 겁니다. 이것이 지금 우리가 사는 세계입니다. 안타깝습니다."<br /><br />테러 희생자 유족과 목격자 등이 불면과 우울증 등 계속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호소하자 뉴욕시는 이들을 위한 의료 프로그램을 따로 만들었습니다.<br /><br />'세계무역센터 건강지원 프로그램'으로, 등록만 하면 정신 건강뿐 아니라 건물 파괴 후 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등 신체 질병까지 기한을 두지 않고 무료로 지원해줍니다.<br /><br /> "9·11 테러 발생 후 20년간 세계무역센터 건강지원 프로그램에는 응급요원과 생존자 등 11만여 명이 등록했고, 이 가운데 수많은 사람이 신체적, 정신적 질환을 앓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지진이 잦은 일본에선 1995년 한신 대지진을 계기로 심리 지원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,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론 국가 차원의 건강정보센터를 열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재난 이외의 참사 등 다양한 트라우마까지 지원 범위를 넓혔고, 세계보건기구와 연계를 통해 재난 시 심리적 응급처치도 벌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일본뿐 아니라 다른 선진국들도 재난 발생 시 정신의료팀을 즉시 투입하는 시스템을 이미 구축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#이태원_참사 #트라우마 #PTSD #세계보건기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