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북 봉화에 있는 광산 갱도에 노동자가 고립된 지 벌써 열흘째입니다. <br /> <br />갱도를 복구하고, 또 생사를 확인하기 위해 수직으로 구멍을 뚫는 등 구조 작업이 오늘도 계속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 연결합니다. 이윤재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경북 봉화 광산 사고 현장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구조작업이 어떻게 이뤄지고 있나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고립된 노동자를 구조하는 작업, 오늘로 열흘째 진행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아직 구조됐다거나 생존 신호를 확인했다는 소식은 전해지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 작업은 지금도 계속 이뤄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제 뒤로 보이는 것처럼 지하 170m 아래로 구멍을 뚫어 생사를 확인하려는 시도도 반복하고 있습니다 <br /> <br />어제까지 3개 구멍이 지하 갱도로 연결됐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보이는 화면이 그 구멍을 통해서 갱도 내부에 내시경을 넣어 주변을 확인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마이크 장비 등을 활용해 대화를 시도하기도 했는데요. <br /> <br />아직은 내부에서 특별한 반응이 나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구조 당국은 5곳에서 천공 작업을 이어가고 있고, <br /> <br />또 새로운 지점을 찾아 3곳에 구멍을 뚫는 작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확보된 구멍 3개 이외에 새로운 구멍이 뚫리면 내시경 등 생존 확인 작업을 반복하고 <br /> <br />또 미음과 보온덮개, 간절한 마음이 담긴 가족의 편지를 구멍을 통해 넣어둘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 노동자가 작업했던 지점까지 구조 통로를 확보하는 갱도 복구도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광물을 캐는 수평 갱도와 '램프 웨이'라고 부르는 우회 갱도 등 두 곳을 동시에 뚫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램프웨이 구간은 예상보다 작업이 어려워 일단 수평갱도를 뚫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수평 갱도는 작업해야 할 구간이 295m 가운데 268m까지 진입했습니다. <br /> <br />30m 정도 남아 있는데 암석이 가로막고 있어 작업이 쉽지 않은 거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경북 봉화 광산 사고 현장에서 YTN 이윤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윤재 (lyj102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110414340877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