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태원역 1번 출구 앞엔 사고 직후부터 놓인 국화꽃 한 송이에서 시작돼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추모공간을 만들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 1일부터 시작된 국가 애도기간은 오늘로 끝나지만, 아직 애도하려는 추모객들의 발길은 이곳에 이어지고 있다고 합니다. <br /> <br />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판단에 따라 전국 합동분향소 운영을 연장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태원 기자! <br /> <br />김 기자 뒤로 보이는 공간에 쪽지가 빼곡히 붙었는데, 어떤 말들이 적혀있는지 살펴봐 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이곳은 참사가 일어난 골목 바로 앞에 있는 이태원역 1번 출구를 둘러싸고 만들어진 추모공간입니다. <br /> <br />국가 애도기간 마지막 날, 이곳을 찾아 희생자를 추모하는 시민들의 발걸음은 늦은 오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추모공간 곳곳에 빼곡히 붙은 쪽지엔 지켜주지 못해 미안하다, 그곳에선 편히 쉬길 바란다는 글들이 적혀있고요. <br /> <br />참사 현장에 있었던 거로 보이는 분이 혼자만 빠져나와서 미안하다고 적어놓은 쪽지도 볼 수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화꽃 한 송이를 가져와 살포시 놓고 기도하는 모습도 찾아볼 수 있었는데요. <br /> <br />추모를 위해 미국에서부터 이곳을 찾은 시민도 있었습니다. <br /> <br />추모객의 목소리를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이 비비안 / 미국 시민권자 : 미리 세상을 떠난 친구들을 위해서 기도해주고 싶어서 나왔습니다. 너무 어린 나이에 희생된 분들인데 (그곳에서)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지낼 수 있었으면 좋겠고.] <br /> <br />하루에도 시민 수천 명이 이곳을 찾아 국화와 편지, 술과 음식 등을 두고 가면서 참사를 추모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조성한 추모공간인 만큼, 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고 있지는 않은데요. <br /> <br />대신 시민 자원봉사자들이 밤을 꼬박 새워가며 이곳을 지키고, 직접 주변을 관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, 어제부터 용산구청에서도 직원들을 보내와 청소용품이나 전력 사용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국가 애도기간은 끝나가지만 시민들의 발걸음이 이어지는 만큼 자원봉사자들은 이 추모공간을 당분간 유지하겠다고 말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오늘 국가 애도기간은 끝나는 건데, 서울시는 아직 합동분향소 연장을 검토하고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오늘을 끝으로 국가 애도기간은 마무리되는데요. <br /> <br />중대본은 오늘 합동 분향소를 찾는 추모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태원 (woni041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0515485244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