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금시장 경색 여파로 채권시장에 찬바람이 불면서 카드사도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조달 비용이 커지면 '카드론' 금리가 더 오르면서 서민들의 대출 문턱도 그만큼 높아질 거란 우려가 나옵니다. <br /> <br />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DSR 등 대출규제 강화로 은행에서 돈을 빌리기가 점점 어려워지면서 급하게 돈이 필요한 서민들은 제2금융권으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이 가운데서도 비교적 쉽게 '급전'을 빌릴 수 있는 카드론에 수요가 몰렸습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 말 기준 자산규모 상위 5개 카드사의 신용카드 대출 잔액은 34조 4천억 원으로, 지난해 말보다 1조 5천억 원 늘어났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 신용대출이 10개월 연속 줄어들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입니다. <br /> <br />[카드업계 관계자 : 경기침체 등의 상황에서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은행권에서 대출받지 못한 자금 수요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레고랜드 발 자금시장 경색은 카드사도 예외가 아니었습니다. <br /> <br />카드사 '돈줄'인 여신전문금융채 수요까지 말라붙은 겁니다. <br /> <br />이에 따라 기준금리 인상으로 안 그래도 껑충 뛰었던 여전채 금리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연초만 해도 연 2%대였던 여전채 금리는 지난달 말 기준 5.965%까지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카드사 자금조달 비용이 오를수록 카드론 금리도 뛴다는 점입니다. <br /> <br />은행과 다르게 수신 기능이 없는 카드사는 여전채를 통해 운영 자금을 조달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카드론 금리를 높이는 데에도 한계가 있는 만큼 저신용자 대상 카드론을 축소할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이정환 / 한양대 경제금융학부 교수 : (카드사들이) 최근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는데 고금리로 취약 차주에게 빌려준다고 하면 돈을 빌려준 거에 비해 받을 확률이 굉장히 낮아지게 되고요. 이것은 수익성 악화로….] <br /> <br />이미 상호금융권과 저축은행에서도 속속 대출을 조이는 데다 대형 대부업체에서도 신규 대출 취급을 줄이고 있어서 서민들의 대출 문턱은 점차 높아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강희경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108045253134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