특수본, 지난 2일 이후 엿새 만에 추가 압수수색 <br />용산서장실·서울청 112상황실장 사무실 압수수색 <br />경찰청장·서울청장 집무실도 압수수색 대상 포함 <br />특수본, 경찰 보고 체계 붕괴 원인 파악 주력<br /><br /> <br />이태원 참사의 진상을 규명하려는 경찰이 경찰 지휘부까지 겨누며 55곳을 추가 압수수색 했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 지휘부의 늑장 보고가 발생한 경위와 그에 따른 책임 소재를 명확히 가리겠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. <br /> <br />이미 6명이 입건된 만큼, 피의자 소환 조사도 조만간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윤성훈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수사관들이 서울경찰청에서 이태원 참사 관련 자료가 담긴 상자를 들고 나옵니다. <br /> <br />참사의 진상을 규명하고 있는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지난 2일 이후 엿새 만에 강제 수사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특수본은 경찰과 용산구청, 소방, 서울교통공사 등 4개 기관, 55곳에 수사관 84명을 보내 압수수색을 벌였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 지휘부를 정조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미 입건된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과 류미진 서울경찰청 당시 112상황실장의 사무실은 물론, 김광호 서울경찰청장과 윤희근 경찰청장의 집무실, 휴대전화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청장이 상황을 인지해 놓고 상급자인 경찰청장에게 보고조차 하지 않았고, 윤 청장은 참사 발생 2시간이 지난 뒤에야 첫 보고를 받은 만큼, <br /> <br />경찰 보고 체계가 어디서, 왜 무너졌는지를 왜 따져보겠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특수본은 또, 당시 경찰 지휘부가 어떤 지시를 내렸는지도 파악해, 지휘 책임을 소홀히 하지 않았는지도 살펴볼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, 경찰 인력 배치 등 사전 대비를 제대로 하지 않은 책임을 가리는 데도 수사의 초점이 맞춰질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지난 2일에 이어 용산서 정보과를 다시 압수수색 함으로써, 핼러윈 축제 안전 우려 문건이 삭제된 경위도 더 자세히 확인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앞서 특수본은 기초 조사를 마치는 대로 소환 조사를 실시하겠다고 밝혀, 주요 책임자들을 직접 부르는 것도 초읽기에 들어갔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이와 함께, 압수물 분석 결과에 따라 경찰 수뇌부를 추가로 입건하고 수사 범위를 넓힐 가능성도 커졌습니다. <br /> <br />YTN 윤성훈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윤성훈 (ysh0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0817541786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