하원 외교위·군사위에서 대북 정책 개입 가능성 <br />두 정당 모두 ’비핵화’ 강조…큰 변화 없을 듯 <br />北, 7차 핵실험은 계속 가능성…시기는 엇갈려 <br />38노스 "北, 영변 원자로 가동 지속"<br /><br /> <br />이번 미국 중간선거는 향후 미국의 대북정책과 관련해 우리에게도 관심사 중의 하나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원 선거가 공화당의 승리로 끝났지만, 바이든 정부의 대북정책은 큰 틀의 변화가 없을 것으로 전망되는데, 북한의 7차 핵실험이 변수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신현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 중간선거에서 공화당은 하원에서 다수당의 위치를 확보했습니다. <br /> <br />바이든 대통령은 공화당의 압승을 막았다고 자평했지만, 향후 대북정책에 영향을 미칠지가 관심사입니다. <br /> <br />공화당이 한반도 문제를 다루는 하원 외교위나 군사위 등에서 바이든 정부의 대북 정책에 대한 개입을 시도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두 정당 모두 '비핵화 원칙'을 강조하고 있는 만큼 큰 변화는 없을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[우정엽 /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: (공화당이) 현재의 대북정책보다 조금 더 강경한 대북정책들을 계속해서 주문하고는 있습니다. 아마도 하원 공화당이 임기를 시작하게 되면 아마 그런 식의 청문회들은 열릴 가능성이 있으나 그것 자체가 미국 행정부의 정책을 직접적으로 바꾸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…] <br /> <br />하지만 준비를 마친 북한의 7차 핵실험은 예정된 수순을 밟을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시기에 대한 관측은 엇갈립니다. <br /> <br />머지않아 도발할 것이란 예측도 있지만 <br /> <br />[박원곤 / 이화여대 북한학과 교수 : 굉장히 비용을 많이 들여서 단기간 내에 한반도의 긴장을 계속 고조시켰기 때문에, 이 국면을 계속 이어가기는 북한도 부담이 많이 됩니다. 그 의미는 그리 오랜 시간을 기다리지 않고 7차 핵실험까지 연결해서 일종의 방점을 찍을 가능성이…] <br /> <br />내년 1∼2월로 늦춰질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정성장 /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 : 과거에도 보면 김정은 생일(1월 8일)이나 김정일 생일(2월 16일) 그런 날이나 그런 날 이전에 했습니다. 핵실험을 북한 주민들의 체제에 대한 충성심을 유도하는 중요한 하나의 계기로 삼아왔고…]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북한이 지금도 영변 핵시설을 가동해 플루토늄을 생산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와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북한이 7차 핵실험을 단행할 경우 바이든 정부의 대... (중략)<br /><br />YTN 신현준 (shinhj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111205482331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