대통령실 "인도·태평양 전략, 미국 발맞추는 측면도"…'중국 겨냥'은 부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은 '아세안+3' 정상회의를 계기로 리커창 중국 총리와 환담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이 발표한 인도태평양 전략이 미국과 보폭을 맞추는 측면도 있다면서도 특정국 겨냥은 아니라고 했는데요.<br /><br />미국과 중국 사이 우리 정부의 외교 전략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주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<br /><br />윤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, 리커창 중국 총리가 아세안+3 정상회의에 참석해 협력 방안을 논의했습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은 3국 협력 메커니즘 활성화를 제안했습니다.<br /><br /> "한중일 정상회의를 포함한 3국 협력 메커니즘도 조속히 활성화되기를 기대합니다."<br /><br />이에 앞서 대기실에서 리 총리와 북핵 문제와 관련해 환담을 나눈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이 최근 북한의 전례없는 도발에 우려를 표명하자, 리 총리는 한반도 비핵화에 중국이 건설적인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대통령실은 한국판 인도·태평양 전략이 미국과 보폭을 맞추는 측면도 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윤 대통령이 천명한 '보편적 가치에 기초한 규칙 기반의 국제질서 확립'을 놓고 미국의 핵심 외교 정책 중 하나인 중국 견제를 염두에 둔 것이란 해석이 나온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 "한미 동맹을 비롯해 가치를 공유하는 국가들 간 연대와 협력이 가장 강력하고 효과적인 수단이 될 것입니다. "<br /><br />다만 대통령실 관계자는 '힘에 의한 일방적인 현상 변경은 결코 용인돼선 안 된다'는 표현이 중국 겨냥이 아닌 '일반론'이라고 선을 그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실은 "아세안은 미·중의 전략 경쟁이 치열하게 펼쳐지고 있는 지역"이라며, 한·아세안 포괄적 전략적 관계 격상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대통령실은 G20 정상회의가 개최되는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한중 정상회담이 개최될지 여부는 "조금 더 지켜봐야 한다"며 여지를 뒀습니다.<br /><br />캄보디아 프놈펜에서 연합뉴스TV 정주희입니다.(gee@yna.co.kr)<br /><br />#윤대통령 #기시다_후미오 #리커창 #아세안+3정상회의 #한중일정상회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