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국은행이 내일 올해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합니다. <br /> <br />인상은 하되 한 단계만 올리는, '긴축 속도 조절'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금리 인상의 최종 목적지가 어디쯤일지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김지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위원 일곱 명이 한자리에 모여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. <br /> <br />앞서 인상을 결정한 4차례 회의는 모두 만장일치였지만, 지난 10월 급격한 금리 인상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며 의견이 갈렸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외 경제 사정이 녹록지 않은 만큼 내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도 '만장일치'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로서는 한 단계, 0.25%p만 올리는 '베이비 스텝' 전망이 우세하지만, 한미 금리 차가 더 벌어져 달러 가격을 다시 높일 수 있는 건 부담 요인입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금융투자협회가 실시한 전문가 조사에서 인상 의견이 유력한 가운데, 응답자의 70%는 0.25%p 인상을 전망했지만, 0.5%p 인상을 예상하는 의견도 29%였습니다. <br /> <br />[공동락 / 대신증권 연구원 : 0.25%p 금리 인상을 예상하고 있습니다. (앞으로 통화 정책이) 긴축 내지는 물가 안정을 목표로 진행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기 위해서라도 (0.5%p 인상) 소수 의견이 한 분 정도 나올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[조영무 / LG경영연구원 연구위원 : 0.5%p 인상 가능성이 크지만, 경기 둔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고 채권시장 불안도 해소되고 있지 않음을 고려해서 0.25%p 인상을 주장하는 소수 의견이 제기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기준금리와 함께 한국은행이 밝힐 경제 전망에도 관심이 쏠립니다. <br /> <br />지난 8월에 2.1%로 예상했던 내년도 경제성장률을 얼마나 낮추게 될지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[석병훈 / 이화여자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: 내년 경제성장률을 2% 아래로 전망한 기관들이 많이 있거든요. 그렇기 때문에 한국은행도 최근 자료를 이용해 업데이트하면 당연히 (1%대로) 떨어질 것으로….] <br /> <br />심각한 경기 침체 국면이 전망될 경우 최종 금리 수준도 예상보다 높지 않을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시장이 예상하는 기준금리 최종 수준은 3.5∼3.75% 정도인데, 내년 상반기 네 차례 열릴 금통위에서 한두 차례 소폭 인상에 그칠 거란 전망에 힘이 실리는 겁니다. <br /> <br />다만, 미국의 긴축 기조가 장기화할 경우, 벌어지는 한미 금리 차를 마냥 두고 볼 수만 없어 최종 기준금리 전망이 예상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지선 (sunkim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123171047346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