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물연대가 안전운임제를 지키기 위해 어제 5개월 만에 무기한 총파업에 들어갔는데요. <br /> <br />전국 주요 항만 등 물류 거점마다 화물차가 멈춰 섰습니다. <br /> <br />육상 운송이 대부분 막힌 기업들은 제품 출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오선열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전남 광양항 입구 앞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인데요, 광양항 쪽 화물 운송 상황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 뒤로 보시는 것처럼 광양항 입구는 이틀째 화물차로 막혔습니다. <br /> <br />긴급 물량은 반출할 수 있도록 조금은 열어두긴 했지만, 화물연대가 파업에 돌입하면서 터미널을 오가는 차량은 거의 없는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수출입 항만인 광양항의 컨테이너 보관 비율은 현재 65% 수준으로 아직 여유가 있지만, 파업이 길어질 경우 운송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무기한 파업에 돌입한 화물연대는 각 지역 물류 거점 기지의 출입구를 막는 등 투쟁을 이어갈 계획인데요. <br /> <br />화물연대가 1년에 두 번 파업을 한 건 2003년 이후 19년 만입니다. <br /> <br />지난 6월 이후 5개월 만에 파업에 나선 건 화물차 기사들에 최소한의 수송료를 보장해주는 '안전운임제'가 올해 말로 끝나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이 제도를 영구적으로 시행하고 철강재를 포함한 적용 대상 품목을 늘려달라는 것이 화물연대의 요구인데요. <br /> <br />정부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았고, 화물연대 파업에 엄정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화물 이동이 멈추면서 항만 당국과 물류 업계는 초비상입니다. <br /> <br />하루 5만t을 출하하는 현대제철 포항과 인천 등 전국 공장은 발이 묶였습니다. <br /> <br />실제로 지난 6월 파업 당시 국내 주요 철강회사는 72만여t을 출하하지 못했고, 피해액은 1조 원이 넘은 것으로 추산됐습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도 이미 운송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강원과 충북 등 시멘트 업체의 물량 출하가 대부분 막혔고, 콘크리트 타설을 앞둔 건설 현장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 <br /> <br />조선업계도 파업이 길어지면 선박 건조에 영향이 있을 것으로 우려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요 항만의 포화도는 아직 여유가 있지만, 안심할 수 없습니다. <br /> <br />항만 당국은 파업 장기화에 대비해 임시로 쓸 수 있는 컨테이너 장치장을 마련하는 등 물류 차질 최소화에 주력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화물연대 파업에 맞서 정부도 강경한 입장을 내놓고 있기에 파업 장기화에 따른 물류 차질이 불... (중략)<br /><br />YTN 오선열 (ohsy5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1125095939555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