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물연대 파업 이틀째…경제계 "파업철회 거듭 촉구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화물연대 총파업 이틀째입니다.<br /><br />전국 물류 거점의 운송 차질이 가시화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시멘트, 철강업계에선 이미 출하 차질을 빚고 있고 사태가 장기화되면 자동차 등 산업계 전반으로 피해가 확산될 우려입니다.<br />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<br /><br />김장현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화물연대 조합원 2만 5천여명이 참가하는 총파업 이틀째입니다.<br /><br />화물차 출하 중단으로 시멘트 공장과 제철소를 중심으로 운송 차질을 겪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태풍 힌남노에 따른 피해 복구에 한창인 포항제철단지의 경우 어제 출하 물량을 내보내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전국 12개 항만 컨테이너 반출입량도 하루 만에 평소보다 60%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무역협회가 기업들의 피해를 접수한 결과 하루 만에 원자재 조달 차질, 생산 중단, 납품 지연과 위약금 발생 등 총 32건이 파악됐습니다.<br /><br />파업이 장기화 하면 여파는 자동차 등 산업계 전반으로 확산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'업무개시명령' 발동을 예고하며 강경 대응하겠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거리에 따라 최소 운송비를 보장하는 '안전운임제'를 두고 정부는 3년 연장을, 화물연대는 영구 시행과 대상 확대를 주장하며 입장이 좁혀지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안전운임제는 화물차 기사가 과로·과속·과적 운행을 할 필요가 없도록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고, 이를 어기는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입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을 반장으로 하는 비상대책반을 구성하고 철강, 자동차, 석유화학을 비롯해 정유, 전력 등 에너지 분야 유관 부서가 참여해 피해 대응 체계를 강화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제계는 고물가·고환율·고금리의 복합위기를 맞아 우리 경제가 큰 어려움에 처해 있다며 화물연대의 파업철회를 거듭 촉구하고 있죠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다섯 달 만의 화물연대 파업에 경제계는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6월 화물연대 총파업 당시 피해액은 8일 동안 약 2조원으로 추산됐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특히, 수출경쟁력을 약화하는 운송거부를 철회하고 안전운임제는 폐지해야 한다는 게 경제계 입장입니다.<br /><br />경영자총협회와 대한상공회의소, 전국경제인연합회, 무역협회 등 경제 단체는 오늘 오후 기자회견을 포함해 사흘째 공동성명을 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들 단체는 "물류비 급등으로 수출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운송거부를 철회하고 안전 운임제를 폐지해야 한다"고 주장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규모가 작은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에도 파업 여파는 크게 다가올 것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10개 중소기업 관련 단체도 입장문을 내고 "화물연대 총파업이 영세 기업의 경영난을 가중할 것이라며 하루빨리 운송거부를 철회하라"고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3고 복합위기에 경제가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는 화물연대 총파업은 당장 철회돼야 한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한국경영자총협회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#화물연대 #총파업 #안전운임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