저성장 국면 불가피한데…운송 파업에 추가 충격 우려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일각에서 내년 경제가 역성장할 것이란 전망이 나올 정도로 경기 침체가 우려되고 있죠.<br /><br />설상가상으로 화물연대와 지하철 파업에 이어 철도 파업까지 예고돼 운수산업발 추가 충격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자금시장 경색으로 이미 어려운 건설분야가 직격탄을 맞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김동욱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고물가·고금리·고환율 등 3고 위기 상황이 우리 경제를 뒤덮은 올해.<br /><br />내년에는 여기에 더해 본격 경기침체가 우려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한국은행과 KDI 이어 내년 경제 성장률 전망을 1%대로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, 일본 노무라증권은 아예 -0.7%, 역성장 전망을 내놓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경기침체 신호로 여겨지는 채권시장의 장단기 금리 역전이 올해 9월 14년여 만에 발생해 지난 21일 이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물가가 잡히지 않는데도 레고랜드발 자금경색과 경기침체 우려가 겹치며 한은도 금리 인상 속도 조절에 나선 상황.<br /><br />그런데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로 물류가 막히면서 특히 건설 현장과 시멘트 회사들이 직격탄을 맞았습니다.<br /><br /> "래미콘 타설이 중단된 현장이 508곳에 달하는 등 전국의 건설 현장 피해가 가시화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서울 지하철이 파업에 들어간데 이어 이틀 뒤엔 철도 파업도 예고돼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가 화물연대에 대한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한 이유입니다.<br /><br /> "경제위기 극복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 화물연대는 자신들의 명분없는 요구 관철을 위해 민생과 국민경제를 볼모로 잡아 물류를 중단시키고 산업기반을 흔들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특히, 자금시장 경색으로 이미 어려움을 겪고 있는 건설사들이 하나둘 무너질 경우 부실이 확산하면서 금융분야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는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동욱입니다. (dk1@yna.co.kr)<br /><br />#화물연대 #지하철 #철도 #파업 #건설 #자금경색 #경제위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