추가 업무개시명령 초읽기…"운송 거부시 보조금 차단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화물연대 파업이 열흘 넘게 이어지며 피해가 커지자 정부가 압박 수위를 더 높이고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시멘트에 이어 정유,철강분야도 업무개시명령 준비를 마쳤다며 운송 거부 차주에는 유가보조금을 1년간 끊고 운송 방해자의 종사 자격 취소를 담은 법 개정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충남 서산의 대산석유화학단지 앞 도로입니다.<br /><br />유화제품을 전국 각지로 나르는 탱크로리들이 화물연대 파업으로 공장 입구 앞에 늘어서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열흘간 유화업계의 출하 차질 물량 규모는 78만여t. 금액으로는 1조원이 넘습니다.<br /><br />눈덩이처럼 불어나는 피해에 정부는 시멘트에 이어 정유, 철강분야에도 업무개시명령 발동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 "업무개시명령 발동을 위한 제반 준비를 완료하였으며 면밀한 모니터링을 통해 국가 경제 위기 우려 시 업무개시명령 발동 절차에 즉각 착수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운송 복귀 거부자와 운송방해 행위에 대해서는 끝까지 법적 책임을 묻겠다는 원칙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가용 경찰력을 24시간 가동해 운송 거부에 참여하지 않는 차주에 대한 보복 범죄는 즉각 현행범으로 체포하겠다는 겁니다.<br /><br />행정처분 수위도 한층 올라갑니다.<br /><br />운송거부 차주는 유가보조금 지급과 고속도로 통행료 감면을 1년간 제외하고, 특히 운송 거부 미참여자를 협박할 경우 종사 자격 취소는 물론 2년 내 재취득을 제한하는 법 개정도 추진합니다.<br /><br /> "시간을 끈다고 정부 입장이 약화되지 않습니다. 집단운송거부를 조속히 철회하고 하루빨리 현업으로 복귀하시기 바랍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군 차량을 투입하고 자가용 유상 운송 허용 대상을 8t 이상 화물차와 유조차 외에 곡물,사료운반차까지 확대하는 등 동원 차량을 최대한 늘릴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trigger@yna.co.kr<br /><br />#화물연대파업 #주유소 #업무개시명령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