고용노동부 ’고령자 노동인식 개선’ 캠페인 <br />정부에 ’60세 이상 계속고용 제도개편 모색’ 권고 <br />"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 2033년 65세로 상향" <br />"계속 고용 위해선 성과급제로의 개편 이뤄져야"<br /><br /> <br />미래노동시장연구회가 발표한 권고문에는 정년 연장과 관련된 내용도 포함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행 60세인 정년을 그 이상으로 늘리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본격화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최명신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고용노동부가 제작해 TV 광고하고 있는 고령자 인식 개선 캠페인입니다. <br /> <br />"이분이랑 같이 작업하면 불량률 제로예요." <br />"나, 이 만큼 능력 있는 사람" "나, 이 만큼 실력 있는 사람" <br /> <br />나이라는 편견을 걷어내면 고령자도 젊은 사람 못지않게 일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습니다. <br /> <br />1955년에서 1963년 사이에 태어난 이른바 '베이비붐 세대'는 천680만 명으로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2.6%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이들 대부분은 이미 직장에서 은퇴했거나 불완전 고용 상태에 진입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미래노동시장연구회는 권고문에 60세 이상 계속고용을 위한 제도 개편을 모색하라는 내용을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고용 연장은 고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경제 활력 유지 등을 고려할 때 시급히 해결해야 할 과제라며 현행 60세 정년 제도로 대응하기엔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[권순원 / 숙명여대 교수·미래노동시장연구회 좌장 : 고령자의 계속 고용과 청년 일자리 창출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임금, 직무 등을 조정할 수 있는 법·제도정비할 것을 권고합니다.] <br /> <br />연구회는 특히 국민연금 수급 연령 변화를 고려해 정년 연장을 검토할 것을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 만 62세인 국민연금 수급 개시 연령은 내년 63세, 2028년 64세, 2033년 65세로 5년마다 한 살씩 늦춰집니다. <br /> <br />[권순원 / 숙명여대 교수·미래노동시장연구회 좌장 : 국민연금 수급 연령을 고려해 만 60세 이상 계속고용 법제 마련을 위한 사회적 논의를 조속히 시행할 것을 권고합니다.] <br /> <br />연구회는 그러면서 계속 고용을 위해선 호봉제를 성과급제로 바꾸는 제도개편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연구회 권고 사항을 대폭 수용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이정식 노동부 장관은 "이른 시일 내 입법안을 마련하고, 사회적 논의를 시작해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최명신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명신 (mscho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13161641730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