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의 심각한 인권침해를 규탄하는 내용의 북한인권결의안이 18년 연속 유엔총회에서 채택됐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도 4년 만에 제안국으로 동참한 가운데 북한은 미국의 정략적인 도발이라며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김태현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유엔총회는 본회의를 열어 북한인권결의안을 비롯해 다수의 인권 결의안을 표결 없이 전원 동의로 통과시켰습니다. <br /> <br />이로써 북한인권결의안은 2005년부터 18년째 유엔총회에서 채택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결의안은 기존 결의안의 내용을 토대로 서해 공무원 피살(2020년)과 탈북 어민 강제 북송 사건(2019년) 관련 문구를 일부 보완했습니다. <br /> <br />결의안은 외국인에 대한 고문과 즉결 처형, 구금, 납치 등을 우려한다는 기존 내용에 "유족과 관계 기관에 모든 정보를 공개할 것을 북한에 촉구한다"는 문장을 추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또한 "북한으로 송환되는 북한 주민들이 강제 실종과 처형, 고문, 부당한 대우의 대상이 돼서는 안 된다"는 문구도 새로 들어갔습니다. <br /> <br />김 성 유엔주재 북한대사는 이번 결의안은 "미국의 대북 적대정책의 산물이고, 명백한 주권 침해이자 정략적인 도발"이라며 비난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 성 / 유엔주재 북한대사 : 결의안에 언급된 인권침해는 사람이 주인이라는 원칙이 모든 정신과 사회생활에 구현된 우리나라(북한)에는 존재하지 않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에도 유럽연합(EU) 회원국들이 주도한 올해 결의안에는 한국도 4년 만에 공동 제안국으로 동참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 한 달 전 기권했던 우크라이나 인권 결의안에도 찬성표를 던지며 보편적 가치에 힘을 실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태현 (kimth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216215745749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