■ 진행 : 김대근 앵커, 이승휘 앵커 <br />■ 출연 : 정기석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대응 자문위원장 <br /> <br />* 아래 텍스트는 실제 방송 내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 보다 정확한 내용은 방송으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 인용 시 [YTN 뉴스라이더] 명시해주시기 바랍니다. <br /> <br /> <br />코로나19 겨울철 재유행 확산세가다시 커지고 있습니다. 오는 23일엔실내에서 마스크를 계속 의무적으로 착용할지 정부의 발표가 예정돼 있는데요. <br /> <br />지금 확산세가 변수가 될지 진단해 보겠습니다. 정기석 코로나19 감염병 위기 대응 자문위원장과 함께합니다. 어서 오십시오. <br /> <br />위원장님, 최근 확산세를 보면 확진자가 7만 명 정도 나오는 것으로 그렇게 발표가 되고 있는데. 이렇게 다시 확산세가 계속되는 이유는 뭐라고 봐야 됩니까? <br /> <br />[정기석] <br />무엇보다도 겨울철이죠. 겨울이 되면 감기 많이 앓지 않습니까? 마찬가지로 코로나19도 이제 감기화되어 가는 과정이거든요. 그래서 많은 거고. 또 하나는 아직까지 우리가 지난번에 우리가 봄하고 여름철에 유행을 겪으면서 그때 앓았던 분들, 또 그때 백신을 맞았던 분들이 지금 이 철이 되면 면역이 많이 떨어진 철이 되는 거예요. 그러다 보니까 면역이 없는 사람들이 많아서 걸리는 확률이 조금 더 올라가고 있다, 그렇게 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이런 상황에서 연말이 되면 신규 확진자가 12만 명을 넘을 거다, 이런 예측도 나오는데. 현재 추세대로라면 가능하다고 보십니까? <br /> <br />[정기석] <br />12만 명 가든 안 가든 크게 놀라운 건 아닙니다. 원래 우리가 여기에서 정부가 이번 겨울 유행을 예상해서 의료대책을 강구할 때 한 20만 명까지도 가능한 것으로, 대응이 가능한 것으로 미리 다 준비를 해왔던 거거든요. 그것 때문에 지금 전체적으로 병실 점유율이 많이 낮아지고 있죠. 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고 12만 명이 나오더라도 의료대응에는 문제가 없을 텐데 저희가 방역을 하는 입장에서는 어차피 같은 환자가 일정 기간에 발생할 거라면 이번 동절기에 예를 들어서 한 수백만 명이 발생하지 않겠습니까? <br /> <br />그렇다면 갑자기 막 올라가서 뚝 떨어지는 이런 과정보다는 좀 낮은 선에서 길게 가는 그 과정이 좋다는 거죠. 왜냐하면 환자가 폭발적으로 생겼을 때 잠시 과거에 우리가 겪었듯이 의료대응체계가 살짝 마비가 되는 수가 있습니다. 그걸 피하기 위해서는 조금 낮은 상태에서 길게 가는 것이 갑자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17104301780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