초·중·고 학생들의 약 2~30%가 희망 직업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교육부와 한국직업능력연구원이 학생 2만2천여 명을 상대로 조사한 결과입니다. <br /> <br />희망 직업이 뭔지 묻는 질문에 '없다'고 대답한 학생 비율, 초등학생은 19.3%, 중학생은 38.2%, 고등학생은 27.2%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유를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초등학생은 '내가 잘하는 것과 못하는 것을 몰라서' 라는 응답이 39.2%로 가장 많았습니다. <br /> <br />중학생과 고등학생은 '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아직 잘 몰라서'라는 응답이 각각 52.5%와 47.7%로 절반 가까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'희망 직업이 없다'고 대답한 학생 비율은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이전인 2019년보다 껑충 뛰었는데요. <br /> <br />초등학생의 경우, 12.8%에서 6% 넘게 올랐고 중학생은 28.1%에서 10% 넘게, 고등학생은 20.5%에서 6% 넘게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비대면 수업의 영향, 진로 체험 활동을 하지 못한 영향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희망 직업이 있다고 한 학생들 사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직업은 뭘까요? <br /> <br />먼저 초등학생은 3년 연속 운동선수가 차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 교사와 크리에이터, 의사로 예년과 순위만 소폭 바뀌었을 뿐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중학생은 3년 연속 1위 교사, 2위 의사입니다. <br /> <br />올해는 3위가 운동선수, 4위가 경찰·수사관, 5위에 처음으로 컴퓨터 공학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이름을 올렸습니다. <br /> <br />고등학생은 3년 연속 교사, 간호사, 군인 순으로 선호도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뷰티 디자이너와 의사, 생명과학자도 꾸준히 인기 있는 직업입니다. <br /> <br />고등학생의 경우, 창업에 관심을 보이는 학생도 점점 늘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실제로 졸업 후 창업을 희망하는 학생 비율이 2.9%로 지난해 1.6%에 비해 늘었고, '창업에 매우 관심이 있다'고 답변한 학생도 12.1%로 매년 조금씩 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디지털 전환으로 직업 변화가 빨라지면서, AI전문가, 정보보안전문가, 빅데이터·통계분석전문가 등 신산업과 관련한 직업을 희망하는 학생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직업에 종사하려는 학생은 중학생의 경우 5.42%, 고등학생은 8.19%로 조사됐습니다. <br /> <br />10년 전 인기 직종이던 유치원 교사와 보육 교사를 선호하는 비율은 감소하고 약사의 인기가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희망 직업 조사는 2007년부터 해오고 있는데, 학생들은 희망 직업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주관식으로 답... (중략)<br /><br />YTN 장아영 (jay24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2001272672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