최근 전세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자가 급증하면서 최근 석 달간 이뤄진 구제 상담만 2천200건을 넘겼습니다. <br /> <br />빌라왕 김 모 씨의 사망으로 돈을 돌려받지 못한 피해자는 어떻게든 해결해야 한다며 황망한 마음을 감추지 못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윤성훈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화곡동에 있는 전세피해지원센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센터를 찾은 피해자들 여간 속이 타는 게 아닐 것 같은데요, 현장 상황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강추위에도 이곳을 찾아 구제 상담을 받으려는 피해자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돌려받지 못한 전세보증금 규모가 대부분 억 단위인 만큼, 피해자들의 절망감도 큽니다. <br /> <br />특히 '빌라왕'으로 불렸던 김 모 씨 소유의 집을 전세로 살다가 보증금 2억여 원을 몇 달째 받지 못한 피해자도 만날 수 있었는데요, <br /> <br />이야기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전세사기 피해자 : 경매까지 생각하는 방법을 찾아야겠다고 하다 보니까 사망을 하셨더라고요, 갑자기. 황망한 마음으로 어떻게든 해결해 보려고….] <br /> <br />특히, 센터가 있는 서울 화곡동은 인천과 함께 '빌라왕' 김 씨 소유 빌라와 오피스텔이 모여 있어, 전세 사기 피해자들이 대규모로 발생한 지역이기도 합니다. <br /> <br />수도권에서 빌라와 오피스텔을 천130여 채 갖고 있었던 김 씨는 세금을 62억 원 넘게 내지 않다가 지난 10월 갑자기 숨졌습니다. <br /> <br />세금 체납으로 집이 압류됐는데 집주인이 숨지면서 세입자들은 전세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상황에 놓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최근엔 깡통전세 피해자들도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부동산 호황기에 빌라 매매가격과 전세보증금을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설정한 갭 투자가 성행했는데요. <br /> <br />최근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주택 가격이 떨어지자,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피해자들이 늘어난 겁니다. <br /> <br />지난달 전국에서 임차인이 돌려받지 못한 보증금만 천862억 원으로 집계돼, 한 달 사이 22%나 급증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곳 전세피해지원센터에서 피해자들은 각자의 상황에 맞는 상담을 받을 수 있는데요, <br /> <br />지난 9월 말 개소한 뒤 지금까지 석 달간 이곳에서 이뤄진 상담은 2천2백 건이 넘습니다. <br /> <br />센터장의 말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강현정 / 전세피해지원센터장 : 전세 피해자를 대상으로 모든 법률 상담을 해주고 계십니다. 본인 상황에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성훈 (ysh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22314244877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