윤대통령 "2017년부터 훈련 전무…드론부대 조기창설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 군용 무인기의 우리 영공 침범에 윤석열 대통령은 지난 수년간 대응 훈련이 전무했다며 전임 정부를 우회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윤대통령은 북한의 선의나 군사 합의에 안보를 의존할 수 없다며 우리 드론부대 창설 계획을 앞당기겠다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방현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북한 군용 무인기의 우리 영공 침범에 대해 입장을 처음으로 밝혔습니다.<br /><br />"지난 수년간 우리 군의 대비 태세와 훈련이 부족했다", "더 높은 대비 태세와 훈련이 필요하다"며 군의 미흡한 대응 질타했습니다.<br /><br />윤대통령은 특히 대응 전력 구축과 훈련이 멈춘 게 2017년부터라며 전임 문재인 정부를 우회적으로 비판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런 북한의 선의와 군사 합의에만 의존한 대북정책이 얼마나 위험한 것인지 우리 국민들께서 잘 보셨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이 마지막으로 확인된 게 2017년이지만, 이후 유화적인 대북 정책을 펴며 무인기 대비에 사실상 손을 놓았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윤대통령은 주요 군사 시설을 감시하고 정찰할 '드론부대' 창설 계획을 공개하며, 창설 시점을 더 앞당기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최첨단으로 드론을 스텔스화해서 감시 정찰력을 강화할 것입니다."<br /><br />또 무인기 도발 대응 전력을 위한 예산이 국회에서 반 토막 났다며, 새해 국회를 설득해 국민이 불안해하지 않도록 예산과 전력을 확충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방현덕입니다.<br /><br />#북한무인기 #윤대통령 #대응훈련전무 #드론부대조기창설 #감시정찰력강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