글로벌 경기침체 여파가 계속되면서 우리 경제의 버팀목인 반도체 산업의 하락세가 가팔라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메모리 반도체를 주력으로 하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4분기 실적 전망치가 갈수록 하향 조정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3분기 영업이익이 1년 전보다 3분의 1 감소하며 어닝쇼크를 기록했던 삼성전자. <br /> <br />하지만 4분기 실적 전망은 더 어둡습니다. <br /> <br />증권가에서 예상하는 평균 영업이익은 7조 4천억 원으로 3개월 전에 예상했던 것보다 35%가 줄었으며, 1주일 전 전망치(8조2천억) 보다도 악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메모리 반도체가 전체 매출의 95%를 차지하는 SK하이닉스는 10년 만에 첫 분기 적자가 유력합니다. <br /> <br />불과 1주일 사이에 적자 예상 금액이 50%(4192억->6430억) 이상 확대됐습니다. <br /> <br />관련 업계는 블랙프라이데이와 12월 연말을 지나면서도 PC와 스마트폰 등 IT 제품에 대한 수요가 늘지 않아 반도체 재고가 소진되지 않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위민복 대신증권 연구원 : 4분기 초에 저희가 예상했던 것보다도 반도체 판매량이 좀 부진한 것으로 감지가 많이 되고 있는 상황이고 이런 점들 때문에 12월 들어서 여러 증권사에서 실적 전망치를 많이 하향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.] <br /> <br />반도체 불황은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위축과 중국의 코로나 봉쇄가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금리 상승세가 둔화하고 중국의 코로나 상황이 나아지면 메모리 반도체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다만 불확실성이 높아 회복 시기를 예측하기는 어려운데, 내년 하반기부터란 전망이 많습니다. <br /> <br />[경희권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: 스마트폰이나 PC 같은 ICT 기기들의 수요가 올해 많이 떨어졌는데, 그것이 (수요를) 회복하는 게 2023년 후반부터 2024년으로 보고 있어서 우리나라 메모리 반도체는 3~4분기에 가시적인 회복이 있지 않을까….] <br /> <br />반도체는 생산량의 90% 이상이 수출되고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20%에 달해 우리에겐 가장 중요한 수출 품목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반도체 한파로 내년 반도체 수출은 올해보다 15% 감소하고, 그에 따라 전체 수출도 4% 마이너스 성장이 예상된다고 무역협회는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YTN 박홍구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228055922731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