피해 왜 컸나…"가연소재에 설치규정도 없어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과천 방음터널 화재는 소음을 줄이기 위해 설치한 터널형 방음시설이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재질이 플라스틱이어서 화재에 취약한데, 별다른 설치 규정도 없는 상태입니다.<br /><br />보도에 강창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도심 외곽을 고가로 가로지르는 경기도 과천 방음터널 구간이 불길에 휩싸였습니다.<br /><br />수백m에 달하는 방음터널 구간이 시뻘건 불길에 휩싸였고 터널 천장이 뜨거운 열기에 녹으면서 불똥이 마치 비처럼 쏟아집니다.<br /><br />달리던 버스와 트럭 간 추돌사고가 발생하면서 불길이 방음터널에 옮겨붙어 일어난 겁니다.<br /><br />이 불로 현장을 지나던 운전자 5명이 숨지고 30여 명이 다쳤으며 차량 40여 대가 소실됐습니다.<br /><br />이처럼 피해가 커진 이유는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고속도로 상부에 설치한 방음터널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방음터널은 산악지 지하공간에 있는 일반 터널과는 달리 주로 고층 건물이 밀집한 도심지 구간을 관통하는 도로 상부에 설치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재질이 화재에 취약한 플라스틱이어서 한번 불길에 휩싸이면 진화가 어렵습니다.<br /><br />실제로 화재 현장을 지나던 상당수의 운전자들은 뜨거운 불길을 피해 차를 버리고 도피했다는 목격담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그냥 차를 다 버리고 도망 나온 상태였어요. 연기는 이것보다 더 심하게 났었고 불이 천장을 아예 휘덮었어요."<br /><br />하지만 현행법상 화재 위험을 줄이기 위한 별도의 방재시설 설치 규정은 없는 실정입니다.<br /><br /> "독일이라던가 일본 등은 방음터널에 불연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반해서 우리나라는 폴리카보네이트라고 하는 플라스틱 종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. 불이 붙기도 쉽고 화재 확산 속도도 나무에 비해서 5배 이상…."<br /><br />경찰과 소방당국은 불길을 완전히 잡는 대로 정확한 피해 규모와 화재 원인을 조사할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강창구입니다. (kcg33169@yna.co.kr)<br /><br />#방음터널화재 #제2경인고속도로 #소방 #경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