북한 무인기 격추 실패 후속 조치로 합동방공훈련이 실시됐습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은 5년 만의 실전적 통합 훈련이라고 강조하며 표적기로 무인기까지 띄웠지만, 격추사격은 하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신준명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공사격용 20mm 벌컨포와 유도 미사일 천마가 가상의 표적을 겨냥합니다. <br /> <br />북한 무인기 격추 실패 사태 발생 사흘 만에 실시된 합동방공훈련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[이성준 대령 / 합동참모본부 공보실장 : 합동참모본부 주관하 지작사, 공작사, 항공사 등이 참가한 가운데 적 소형 무인기 대응상황을 가정하여 실전적인 합동 방공훈련을 실시….] <br /> <br />지상 전력은 벌컨포와 천마, 비호가, 공중 전력은 KA-1 경공격기와 아파치, 코브라, 500MD 헬기 등 20여 대가 동원됐습니다. <br /> <br />이번 훈련은 지난 26일 우리 영공을 침범한 북한의 소형 무인기를 우리 군이 한 대도 격추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속 조치의 일환입니다. <br /> <br />합참은 이번 훈련에 대해 "가용한 자산을 총동원한 실전적 통합 훈련은 지난 2017년 이후 5년만"이라며 "적 무인기가 공중 침투하는 상황을 가정하고 탐지·식별 뒤 추적해 요격하는 방식이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리 군은 실전적 훈련을 위해 표적기로 무인기까지 띄웠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표적기를 항해 실탄은 쏘지 않는, 비사격 방식으로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500MD 헬기 승무원이 휴대용 전파 교란 무기, 드론건을 활용한 타격 훈련도 실시했지만, 이 또한 비사격 방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합참 관계자는 "실탄을 쏘기 직전까지의 탐지·추적 절차를 숙달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한 훈련 성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했다"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합참은 이번 훈련에서 확인된 문제점을 보완하고 부대별로 임무 수행 절차를 숙달해 북한의 공중 위협에 대한 대응 태세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YTN 신준명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신준명 (shinjm7529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1229220539382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