남측, 판문점 도끼만행 사건 비판에 고성 내지른 북한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통일부가 그동안 비공개였던 '남북대화 사료집'을 올해 두 번째로 공개했습니다.<br /><br />이번에 공개된 것은 4권에서 6권까지로, 1970년대에 진행된 남북 적십자 회담 회의록 등인데요.<br /><br />사료에는 당시 분위기와 남북 간 입장차가 고스란히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지성림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통일부가 이번에 공개한 것은 '남북대화 사료집' 4권에서 6권까지 내용 중 일부 비공개 부분을 제외하고 총 3천여 쪽에 달합니다.<br /><br />이 사료집에는 1970년대에 열린 7차례의 남북 적십자 본회담과 7차례의 대표회의, 25번의 실무회의 회의록, 당시 남북 언론 보도 내용 등이 담겼습니다.<br /><br />사료를 통해 적십자 회담 초기 이산가족 문제에 대한 남북의 선명한 입장 차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이산가족 생사 확인 방식과 관련해 우리 측은 국제적십자에서 통용되는 '공통서식 제정', 즉 서류 교환 방식을 제의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북한은 직접 남북의 인원이 왕래하는 방식을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북한은 통일전선 전술 차원에서 대남 요원을 적십자 인원으로 위장 파견해 정치적 선전을 하려는 의도였던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이산가족 범위와 관련해서도 상호 혈연관계를 확인해야 한다는 우리 측과 달리 북한은 '본인 호소'만으로도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북측은 6차 본회담에서 갑자기 '국가보안법' 등의 철폐를 요구하는 등 정치적 선동을 시도했습니다.<br /><br />사료집에는 1976년 8월 우리 측이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에 대해 비판하자 북측 대표가 "최고사령관 명령을 헐뜯는 민족 반역적 발언"이라며 책상을 치고 고성을 지른 내용도 고스란히 담겼습니다.<br /><br />또 1973년 11월 남북 적십자 대표 회의에서 북측 대표는 '김대중 납치 사건'을 거론하며 "남조선 중앙정보부 성원들과 마주 앉아 대화할 수 없다"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남북회담 문서 공개는 올해 1월 제정된 통일부 훈령에 따라 지난 5월 시범 공개된 이후 두 번째입니다.<br /><br />공개된 문서는 남북회담본부, 국립통일교육원, 북한자료센터 등 3곳에 마련된 문서 열람실에서 볼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지성림입니다. (yoonik@yna.co.kr)<br /><br />#남북대화사료집 #남북적십자회담 #통일부 #남북언론보도 #판문점도끼만행사건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