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재 취약 아크릴 방음터널 5개 더…보강·교체 검토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큰 피해를 낸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과 같은 소재로 된 방음터널이 5개나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유사 사고가 나면 또 대형참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데요.<br /><br />정부가 전국 방음터널에 대한 안전 진단에 나섭니다.<br /><br />팽재용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관리하는 전국의 방음터널은 모두 55개입니다.<br /><br />도로에 49개, 철로에 6개가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방자치단체가 관리하는 방음터널까지 합치면 100개가 훌쩍 넘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우려되는 점은 이들 터널 중 이번 화재가 난 제2경인고속도로 방음터널과 같은 자재로 만들어진 것이 여럿 있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화재가 난 이 터널은 가연성 소재인 아크릴이 주요 자재인데, 같은 자재로 만들어진 방음터널이 5곳 더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.<br /><br />신대구고속도로가 3개로 가장 많았고 이번에 화재가 난 제2경인고속도로에 1개 더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한국도로공사가 관리하는 무안광주선에도 1곳 있었습니다.<br /><br />한국도로공사 등 공공기관은 2009년 이후 방음터널에 내화성을 갖춘 특수 플라스틱을 주로 썼지만, 민자도로에는 낮은 단가 등의 이유로 아크릴이 널리 쓰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국토교통부는 전국의 방음터널을 전수조사해 안전에 문제가 있는 곳은 보강 또는 교체 조치하고 앞으로 화재 취약 소재를 쓰는 방음터널 공사는 전면 중단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 "사후에 취약성이 있는 부분에 대해 등급을 매기고 그에 따라서 지침을 매기려고 합니다. 통행상의 안전 조치를 취하고요. 보강으로 충분한 부분은 보강조치, 그것이 아니고 전면 교체를 해야 하는 부분은 전면 교체…."<br /><br />원 장관은 또 "방음터널이 소음 저감 효과에만 치중돼 안전을 도외시한 부분이 있었다"며 "전반적 안전 기준을 다시 살펴볼 것"이라고 덧붙였습니다.<br /><br />국토부는 방음터널 사고 시, 상부가 열리도록 하는 등 화재 대피와 구조 시간 확보를 위한 안전조치 강화에 나설 방침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팽재용입니다. (paengman@yna.co.kr)<br /><br />#터널화재 #방음터널 #화재취약 #전수조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