한일 정상, 관계개선 한 목소리…"현안 조속히 해결해야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나라와 일본이 정치, 경제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는 합동총회가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양국 정상은 한일 관계가 회복되길 기원한다며 강제징용 배상 문제 등 현안을 하루빨리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일·일한협력위원회 합동총회가 2018년 이후 4년 만에 처음 열렸습니다.<br /><br />1969년 발족한 민간기구로, 각 분야에서 양국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자리입니다.<br /><br />양국 정상은 한목소리로 한일 관계 회복을 주문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와 기시다 총리는 여러 차례 만남을 통해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에 대한 의견의 일치를 보았으며, 현안을 조속히 해결하고 양국 협력을 확대해 나가자는 데 뜻을 모았습니다."<br /><br /> "국교 정상화 이후 쌓아온 우호협력관계 기반을 바탕으로 현안을 해결하고 한일관계를 건전한 관계로 되돌려 더욱 발전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고 확신합니다."<br /><br />여기서 언급된 '현안 해결'은 한일 간 최대 갈등 사안인 강제징용 배상 문제를 뜻하는 것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우리 정부는 일본 정부나 전범 기업이 아닌 제3자인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을 통해 배상금을 먼저 변제하는 방안을 제시한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일본 측엔 '성의 있는 호응 조치'를 촉구하고 있는 가운데 피해자 측 반발로 난항도 예상됩니다.<br /><br /> "한국이 먼저 피해자들에 대해서 출연하고, 일본의 호응을 기대하겠다는 것이 너무 안타깝게도 사실은 일본 책임을 완벽하게 면책해주는 게 아닌가…."<br /><br />조현동 외교부 1차관은 일본 측이 외교부가 주최한 강제징용 배상 관련 공개토론회를 지켜봤을 것이라며, "국내에서 반대 의견이 많고 여론이 뜨겁다는 걸 인식했을 것"이라고 말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일본 피고 기업의 기금 참여와 사과 등을 거듭 촉구해 최종 해법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지만, 일본 측이 어떻게 나올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