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, 6년 공석 北인권특사 지명…압박 강화하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6년간 공석이었던 북한 인권특사를 임명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인권 관련 문제 제기를 강화하겠다는 의지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백악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국무부 인권·노동국의 줄리 터너 동아시아·태평양 담당을 대사급인 북한 인권특사로 지명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터너는 인권·노동국에서 16년을 근무하며 북한 인권 문제를 주로 다뤄왔고 국가안보 회의에서 동남아시아 업무를 담당한 적도 있다는 설명입니다.<br /><br />프랑스어와 함께 한국어도 구사합니다.<br /><br />2004년 10월 발효된 '북한인권법'에 따라 신설된 국무부 북한 인권특사는, 미국 정부의 북한 인권정책 수립과 집행 전반에 관여하는 대사급 직책입니다.<br /><br />미 하원 국장을 지낸 로버트 킹 특사가 오바마 행정부 때인 2009년 11월부터 2017년 1월까지 7년여간 재임한 이후, 트럼프 정부에서 임명하지 않아 지금까지 공석이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취임 이후에도 즉각 임명이 이뤄지지 않았는데, 이 때문에 인권을 외교 정책 전면에 두겠다는 바이든 정부가 북한 인권 문제를 소홀히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든 대통령이 취임 2년 만에 인권특사를 전격 임명한 건, 앞으로 북한 인권 문제를 적극적으로 제기하겠다는 뜻으로 읽힙니다.<br /><br />앞서 2005년 8월 선임된 제이 레프코위츠 초대 북한 인권특사는 개성공단 노동자의 임금과 노동환경에 의문을 제기했고, 북핵 6자회담과 인권 문제 연계도 주장했습니다.<br /><br />오바마 정부 킹 특사도 "북한 인권이 개선돼야 북미 관계가 정상화될 수 있다"며 북한을 압박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