바이든 대통령과 정상회담 후 "수출규제 동참" <br />초미세 장비뿐 아니라 범용 칩 생산 장비도 규제 <br />中 자동차·스마트폰용 반도체도 생산 차질 예상 <br />한국·타이완 등 지난해 3나노 반도체 양산체제 <br />韓 기업, 1년간 수입 규제 안 받지만 위축 불가피<br /><br /> <br />중국에 대한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에 최근 네덜란드와 일본 정부가 동참 의사를 밝히면서 우리 기업들은 어떤 영향을 받게 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과 기술 격차를 더 벌릴 수 있게 된 점은 긍정적이지만 중국 현지공장의 생산이 위축되고 대 중국 비즈니스의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은 걱정입니다. <br /> <br />보도에 박홍구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미국 정부가 지난해 10월 첨단 반도체 장비의 중국 수출을 규제하는 조치를 발표하자 세계 반도체 장비 2위와 3위 기업이 있는 네덜란드와 일본 정부는 반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업의 피해가 우려됐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올해 초 미국 바이든 대통령이 두 나라 총리를 잇따라 만나고 나서 결국 백기를 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중국의 반발을 고려해 상세한 합의 내용이 공개되지는 않았으나 규제 대상에는 최첨단 EUV 노광장비뿐 아니라 범용 반도체 칩을 만드는 DUV 장비까지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자동차나 스마트폰에 들어가는 반도체마저 효율적으로 생산하지 못하게 막겠다는 의도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이미 3나노 이하 반도체까지 대량생산에 들어간 우리 기업들로선 중국과 기술 격차를 확대할 기회입니다. <br /> <br /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원 : (중국이) 세계시장에서 경쟁자로 부상하는 것, 그 부분을 좀 더 지연시키거나 막을 수 있어지기 때문에 우리 기업이나 국가 차원에서 도움이 됩니다.] <br /> <br />하지만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2~3개씩 반도체 생산 공장이 중국에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정부가 우리 기업에게 1년간 장비 수입 유예조치를 적용해 심각한 타격을 입고 있지는 않지만, 앞으로 생산활동이 위축될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일본과 네덜란드가 미국의 대중 압박에 동참하며 막대한 손실을 감수했다는 점은 우리 정부에게도 부담입니다. <br /> <br />[장상식 / 무역협회 동향분석실장 : 앞으로 중국 내에서 반도체 관련 공장을 증설한다든지, 업그레이드를 한다든지, 비즈니스를 확대하는 것에 대해 굉장히 조심스러워질 것 같습니다.] <br /> <br />이번 제재가 오히려 중국 정부의 반도체 독립을 촉진할 수 있다는 시각도... (중략)<br /><br />YTN 박홍구 (hkpar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20105441938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