챗GPT, 뛰어난 창의성으로 주목 받아 <br />챗GPT, 방대한 데이터 토대로 쉽게 시 등 창작 <br />일부 美 대학에선 챗GPT 사용 금지령 내려<br /><br /> <br />신통방통한 대답으로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고 있는 AI, 인공지능 챗봇 '챗GPT'가 국내 AI 중엔 카카오와 네이버를 적수로 지목했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AI 기업 상당수는 챗GPT는 혁신이라기보단 흥미로운 접촉면 확대로 보고 도전장을 냈고, 일부는 협력을 위한 연계를 추진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뛰어난 창의성으로 주목받는 초거대 AI인 챗GPT, <br /> <br />YTN에 대한 시를 지어달라고 하자 멋진 영시를 바로 지어냅니다. <br /> <br />일부 미국 대학가에선 사용 금지령이 내릴 정도로 파급력이 커지고 있는 상황. <br /> <br />[브랜든 마이어스 / 미국 시라큐스 대학 방송 기자 : 학점에 20% 비중을 차지하는 보고서를 2주 안에 제출해야 하는 경우에도 엔터만 누르면 챗GPT가 20초 안에 해결해 줍니다.] <br /> <br />2021년까지의 정보를 토대로 한 데다 한국어 정보는 부족하다 보니 우리나라 대통령이나 YTN 관련 답변에선 부정확한 대답도 가끔 나옵니다. <br /> <br />챗GPT에게 한국 내 경쟁자를 뽑아보라고 하니 카카오와 네이버를 언급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에 카카오는 챗GPT의 단점이 명확해 구글 검색의 일부 대행에 그칠 것이라며 한국어에 특화된 대화형 AI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네이버는 챗GPT는 실제 서비스가 아닌 체험 목적의 데모 서비스에 불과하다며 초거대 AI의 상용화가 관건이라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통신 회사들도 관심입니다. <br /> <br />KT는 챗GPT의 한국어 데이터가 부족하고 잘못된 정보도 다수 있어 사업 적용이 어렵다며 사업에 최적화된 초거대 AI를 만들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LG는 계열사가 속한 산업 전문 데이터를 학습한 초거대 AI로 인간을 돕는 전문가 AI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챗GPT완 방향 자체가 다르다며 선을 그었습니다. <br /> <br />SKT는 자사의 성장형 AI 서비스 에이닷의 지식 대화에 챗GPT를 접목시켜 방대한 정보를 활용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신선한 충격을 안겨준 챗GPT의 등장에 국내 AI 업체들의 맞대응도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210233249104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