편견·차별 여전한 뇌전증…"따뜻한 시선과 이해를"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(13일)은 세계 뇌전증의 날입니다.<br /><br />뇌전증은 누구나 걸릴 수 있을 만큼 흔하고, 또 치료로 일상생활도 충분히 가능한 질병인데요.<br /><br />사회적 편견과 차별은 여전히 남아 환자들을 괴롭히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차승은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때 간질로 불렸던 뇌전증.<br /><br />사회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서 2009년 뇌전증으로 이름을 바꿨습니다.<br /><br />10여 년이 지난 지금, 시민들의 의식은 얼마나 바뀌었을까요.<br /><br /> "(뇌전증 관련해서 평소에 갖고 있던 생각은?) 발작이 됐을 때 굉장히 행동이라든가 일반인이 접근하기에는 무서운 기분이 든다…"<br /><br /> "만약 어린이집이나 학교에 그런 학생이 들어온다고 하면 학부모 입장에서 썩 달가운 것은 아닐 거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뇌전증에 대한 부정직 인식 속에 환자에 대한 차별은 계속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설문조사를 보면, 뇌전증 환자 열 중 아홉은 사회적으로 차별 받고 있다고 응답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취업과 직장생활, 대인관계에서 차별을 가장 크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<br /><br />편견과는 달리, 뇌전증은 국내 37만 명가량이 앓고 있고, 매년 2만 명씩 새로운 환자가 발생하는 비교적 흔한 질병입니다.<br /><br />고혈압과 당뇨처럼 오랜 기간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지만 호전 가능성은 오히려 더 높고, 편견의 가장 큰 원인인 발작 증상도 약물치료로 대부분 조절할 수 있어 일상생활에 큰 문제가 없습니다.<br /><br /> "고혈압 걸린 분, 당뇨 걸린 분이 밖으로 티 나나요. (뇌전증 환자도) 약을 복용하면 (일반인과) 똑같아요."<br /><br />뇌전증 환자를 대하는 일상 속 작은 배려와 이해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크지만, 환자들을 관리하고 지원하는 제도는 미미한 실정입니다.<br /><br />국회에는 관련 법안이 2년 넘게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 (chaletuno@yna.co.kr)<br /><br />#뇌전증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