일자리 증가 8개월째 둔화…제조업도 감소세 전환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경기가 어려워지면서 고용시장에도 서서히 냉기가 돌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41만여명 늘긴 했는데 증가 폭이 22개월 만에 최소였는데요.<br /><br />수출이 부진해지면서 제조업 쪽의 타격도 커질 조짐입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새해 첫 달인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41만1,000명 늘었습니다.<br /><br />31만 4,000명 늘었던 2021년 3월 이후 22개월 만에 가장 작은 증가 폭입니다.<br /><br />취업자 수가 꾸준히 늘고는 있지만, 증가 폭은 지난해 5월 93만5,000명을 정점으로 8개월째 꾸준히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고용 상황이 좋았던데 따른 기저효과에 인구 감소 영향, 여기에 경기 둔화까지 겹치면서 고용시장에 찬바람이 들기 시작한 겁니다.<br /><br /> "기저 요인이 크고요. 그리고 대내외 경기 불확실성에 따른 경기 둔화 부분이 약간 부정적인 영향이 있어서 이 두 가지 측면이 동시에 작용해서…."<br /><br />60세 이상 고령층 취업자가 40만명으로 전체 취업자 증가분의 대부분인 97.3%를 차지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, 20대 이하 청년층 취업자와 40대 취업자는 인구가 줄며 각각 3개월, 7개월째 줄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거리두기 완화 등의 영향으로 대면 업종에서 취업자가 주로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숙박·음식점업과 보건·사회복지업이 증가세를 주도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제조업 취업자는 3만5,000명 줄면서 15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했습니다.<br /><br />수출 부진 여파가 반영된 겁니다.<br /><br />실업자 수는 102만4,000명으로 1년 만에 다시 10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다음 달부터 지난해 기저 효과 영향을 크게 받는데다 경기 둔화와 생산연령 인구 감소 탓에 취업자 증가 폭 감소세가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취업자 #실업자 #고용동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