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6대 수출국 중 가장 부진…"구조 개선·에너지 절약"

2023-02-16 0 Dailymotion

6대 수출국 중 가장 부진…"구조 개선·에너지 절약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우리 경제 동력인 수출 부진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주요 수출국가와 비교해도 증가율이 가장 낮았고, 올해도 무역적자가 1년째 이어진다는 전망까지 나오는 상황인데요.<br /><br />정부는 관련 회의를 열고 해법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이은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수출 실적이 부진의 늪을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난해 4분기, 한국의 수출 증가율은 미국, 중국 등 수출 상위 6개국 중 꼴찌였습니다.<br /><br />수출이 1년 전보다 거의 10% 줄며 가장 큰 낙폭을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올해 상황도 녹록지 않습니다.<br /><br />1월에 월 단위 사상 최대 무역적자를 낸 데 이어 이달도 초순까지 적자만 50억 달러, 이대로라면 작년 3월 시작된 적자가 1년 내리 이어질 전망입니다.<br /><br />문제의 핵심은 반도체, 중국, 그리고 에너지 가격입니다.<br /><br />수요 부진과 가격 하락으로 1월 반도체 수출액은 작년 1월 대비 44% 넘게 줄면서 총수출 감소액 절반 이상을 차지합니다.<br /><br />최대 교역국 중국에 대한 수출 부진도 8개월째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중국이 코로나19에 따른 고강도 봉쇄 조치를 다음 달 풀 예정인데, 이 기회를 살리지 못하면 수출 감소와 무역적자가 상당 기간 고착화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가격 폭등 속에 닥친 겨울 한파로 에너지 수입액이 급증한 점은 무역적자의 최대 요인입니다.<br /><br />심상찮은 상황에 정부는 수출 투자대책 회의를 열어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 "근본적 수출구조 개선을 위해 전 부처가 책임감을 갖고 총력을 다하겠습니다."<br /><br />정부는 우선 에너지 수입 감축을 위해 절약 인센티브를 강화하고, 지난해 4분기부터 줄고 있는 농수산식품 수출의 확대에 나설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이 정도로 수출 감소와 무역적자 해소는 어렵지만 당장 뾰족한 반전 수단이 없다는 게 정부의 고민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은정입니다. (ask@yna.co.kr)<br /><br />#무역수지_적자 #수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