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물차, 준중형은 전기차…중·대형은 수소차로 <br />중형 이상 트럭, 무게 때문에 전기차 개발 어려워 <br />정부, 연 4만t 규모 액화수소 플랜트 내년에 구축 <br />액화 수소, 기술 미비·비용 탓에 상용화 미진<br /><br /> <br />승용차는 이제 내연기관에서 전기자동차로의 변화가 대세가 됐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덩치가 큰 화물차는 전기로는 에너지가 충분하지 않아 수소를 연료로 써야 하는데, 기체를 쓸지, 액체를 쓸지 갈림길에 섰습니다. <br /> <br />이승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내연기관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은 거스를 수 없는 대세입니다. <br /> <br />심지어 묵직한 픽업트럭도 내년엔 전기차로 출시됩니다. <br /> <br />[로베르토 램펠 / 한국GM 사장 : 비즈니스 효율성, 브랜드 전략, 전기차 확장, 고객 경험 중 몇 가지를 오늘 보여드릴 겁니다.] <br /> <br />화물차도 내연기관 탈출이란 흐름은 거스를 수 없지만, 체급에 따라 전기차 혹은 수소차로 갈 길이 나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이 준중형 트럭의 전기자동차가 현재 개발 중인데 1년 반 뒤쯤에 공개가 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또한 수소 내연기관 트럭도 현재 개발 중인데, 1년 반 뒤쯤에 시제품이 공개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중형 이상 트럭은 무거운 차체에다 이에 비례해서 커져야 하는 배터리 탓에 전기차 전환이 쉽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수소차, 특히 수소연료 전기차보다 힘이 좋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수소연료 내연기관 화물차 개발이 추진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김방신 / 타타대우상용차 대표 : FCEV, 수소 연료 전기차는 좀 이슈가 있어 보여서…. H2ICE, 수소내연기관을 국책기관, 대학, 기타 다른 협력업체들과 공동으로 개발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문제는 수소를 액체로 쓰느냐, 기체로 쓰느냐입니다. <br /> <br />수소는 부피가 크기 때문에 영하 253도 미만 극저온 상태로 냉각해 액화 수소로 저장해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연 4만 톤 규모의 액화수소 플랜트를 내년에 구축하겠다는 방향은 제시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관련 기술 미비와 비용 문제로 아직 액화 수소는 상용화가 이뤄지지 못한 상태입니다. <br /> <br />기업들은 일단 부담이 덜한 기체 수소로 방향을 잡고 있지만,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는 잠재적 불안 요소입니다. <br /> <br />수소 에너지 활용에 대한 좀 더 명확한 방향 설정이 정부 주도로 이뤄져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YTN 이승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승윤 (risungy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2200609086453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