챗GPT에 AI 반도체 물어보니 몇십 초 만에 답변 <br />대화형 인공지능 한계까지 설명…"대화하는 느낌" <br />챗봇과 달리 질문에 맞는 답변 스스로 만들어내<br /><br /> <br />대화형 인공지능, 챗GPT가 수요 감소가 예상됐던 반도체 업계의 새로운 희망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메모리 반도체 강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챗GPT 열풍의 혜택을 받게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윤해리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대화형 인공지능, '챗GPT'에 AI 반도체가 무엇인지 설명해달라고 물었습니다. <br /> <br />질문을 입력한 지 몇십 초 만에 인공지능을 위해 설계된 반도체라는 구체적이진 않지만, 그럴듯한 답변이 돌아옵니다. <br /> <br />챗GPT의 한계와 보완점까지 물어보니, 실시간으로 대화를 주고받는 느낌이 듭니다. <br /> <br />기존에 입력된 답변만 가능했던 챗봇과 달리 방대한 데이터를 학습해 질문에 맞는 답변을 스스로 만들어낸다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입니다. <br /> <br />이를 위해선 많은 양의 데이터를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그래픽처리장치가 필요한데, 이 성능을 좌우하는 게 여러 개의 메모리 반도체 D램을 이어붙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'고대역폭 초고속 메모리', HBM 기술력입니다. <br /> <br />메모리 반도체 강자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'챗GPT'와 같은 인공지능 시장이 반도체 업계의 새로운 변곡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SK하이닉스 박정호 대표이사 부회장은 최근 심포지움에서 챗GPT가 반도체 수요의 새로운 킬러 애플리케이션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습니다. <br /> <br />세계 HBM 시장 60% 차지하고 있는 SK하이닉스에는 GPU 업계 1위 엔비디아를 포함해 고객사들의 주문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. <br /> <br />최근 이재용 회장이 직접 반도체 사업장을 방문할 정도로 기술 초격차에 사활을 걸고 있는 삼성전자도 HBM에 연산 기능까지 더한 제품을 양산하는 등 차세대 반도체 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챗GPT 열풍으로 반도체 수요 회복이 빨라질 거란 기대감이 반영되면서 업황 전망 지수도 최근 바닥을 찍고 반등하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[김양팽 / 산업연구원 전문연구위원 : 챗GPT의 경우에도 현재 GPU라든지 메모리 반도체를 많이 사용하는 그런 형식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사용되고 있어서 최근 불경기인 반도체 경기가 그나마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는 부분이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다만 올해 전반적인 경기 침체 분위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해리 (yunhr092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3022705261441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