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"사이버 적대행위자 차단·해체"…북중러 지목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미국 정부가 중국과 북한 등의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새로운 국가안보 전략을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사이버 공간에서도 국익을 위협하는 최대 경쟁자로 중국을 꼽으며 적대 행위를 막는데 국가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워싱턴 이경희 특파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백악관은 핵심 시설을 위협하는 적대국의 사이버 공격이 이어지자 기존과는 다른 수준의 강력한 대응을 예고했습니다.<br /><br />사이버 공간을 재구성한다는 표현까지 쓰며 "미국의 국익을 위협하는 적대 행위자들을 차단하고 해체하는 데 모든 국가 역량을 동원하겠다고"고 못 박았습니다.<br /><br />대상도 적시했습니다.<br /><br />중국과 북한, 러시아, 이란을 중대 위협국으로 지목했는데, 특히 중국은 가장 광범위한 위협이자 사이버공간에서도 미국의 최대 경쟁자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인터넷을 감시 도구로 활용해 디지털 독재 비전을 국경을 넘어 확산시키고 있다고 맹비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에 대해선, 암호화폐 절도·랜섬웨어 공격으로 핵개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그간 북한의 돈줄을 조이기 위해 불법 사이버 활동을 근절하겠다는 의지를 수차례 밝혀왔고 지난달 열린 한미 외교장관 회담에서도 이 문제가 논의된 바 있습니다.<br /><br /> "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단호하고 단합된 대응을 할 것입니다. 또 북한의 불법적인 사이버 활동에 대한 대응은 우선순위가 돼야 합니다."<br /><br />또 북한의 사이버 공격 의지와 정교함이 커지고 있다며, 역량이 더 발전하면 미국과 동맹의 이익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이처럼 대상을 설정한 자체가 새로운 정책 시도라고 의미를 부여했습니다.<br /><br />사실상 민간에 맡겨뒀던 사이버 안보 영역을 국가가 주도해 나가겠다는 의지의 표현으로 풀이됩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이를 위해 핵심 인프라 부문에서 사이버 보안을 위한 최소 요건을 강화한다는 방침입니다.<br /><br />또 랜섬웨어 공격을 국가 안보차원에서 다루기 위해 국방부의 관련 전략 개편을 검토하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동맹 협력도 늘려간다는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워싱턴에서 연합뉴스TV 이경희입니다.<br /><br />#북한_해킹 #사이버_위협 #미국_국가안보전략 #북한_도발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