재단 통한 강제동원 배상 공식화…"일본 호응 기대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일 간 4년 넘게 갈등 요인이던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 해법안을 정부가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기업 대신 행정안전부 산하 재단이 배상금을 지급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외교부 장관은 "물컵의 절반 이상이 채워졌다"고 자평했지만, 피해자 측은 반발했습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강제노역을 시킨 일본 전범기업들에 소송을 걸어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피해자는 총 15명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 기업들이 판결에 불복하면서 배상금 지급은 2018년 이후 이뤄지지 못했습니다.<br /><br />일본 정부 역시 판결 수용 불가 입장을 밝혀 이 기간 한일 관계는 악화일로를 걸었습니다.<br /><br />이런 가운데 정부는 일본 피고 기업 대신 행안부 산하 지원재단이 배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공식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재단의 재원은 "민간의 자발적 기여"를 받는다는 게 정부의 설명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배상 책임이 있는 미쓰비시중공업, 일본제철이 이 재단에 출연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피해자 측이 줄곧 요구해온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는 1998년 '김대중-오부치 선언'을 계승하겠다고 밝히는 선에서 일단락됐습니다.<br /><br />한일은 전경련과 일본경제단체연합회, 게이단렌을 통해 일명 '미래청년기금'을 조성하는 방안을 협의 중입니다.<br /><br />미래세대 교류를 지원에 목적을 두고 있는데, 피고 기업들이 이 기금에 기부금을 내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피해자들이 요구한 일본 정부의 공식 사과와 피고 기업의 배상이 이뤄지지 못한 데 대해 일각에서는 '반쪽짜리 해법'이라는 지적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대해 박진 장관은 "물컵에 절반 이상이 찼다"며 일본의 호응을 주문했습니다.<br /><br /> "물컵에 비유하면 물컵에 물이 절반 이상은 찼다고 생각합니다. 그리고 앞으로 이어질 일본의 성의 있는 호응에 따라서 그 물컵은 더 채워질 것으로 기대합니다."<br /><br />피해자 지원단체들은 한국 정부가 나서 일본 기업의 책임을 탕감시켰다며, 일본 피고 기업이 내지 않는 배상금은 받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 "그렇게 해서는 사죄라고 볼 수 없지요. 잘못한 사람한테, 일본한테 받아야지. 왜 동냥해서는 안 받을랍니다."<br /><br />외교부는 피해자를 각각 만나 설득하겠다고 밝혔지만, 이번 방안을 둘러싼 논란은 계속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#강제동원 #피해배상 #미래청년기금 #게이단렌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