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연 거론 기업들 "적극 지원 검토·성실 협조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배상금 재원은 과거 한일 청구권 협정 당시 일본 자금을 지원받았던 국내 기업들의 기부금으로 마련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해당 기업들은 적극적으로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이승국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정부가 밝힌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금 지급 계획의 핵심은 '민간의 자발적 기여를 통한 재원 마련'입니다.<br /><br /> "(배상금) 재원과 관련해서는 민간의 자발적 기여 등을 통해 마련하고, 향후 재단의 목적 사업과 관련한 가용 재원을 더욱 확충해 나갈 것입니다."<br /><br />이른바 '제3자 변제' 방식인데, 일본 피고 기업인 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을 대신해 행안부 산하 지원 재단이 기부금을 받아 피해자들에게 판결금을 지급한다는 겁니다.<br /><br />이미 2012년 재단에 100억원 출연을 약속한 포스코를 비롯해 도로공사와 KT&G 등 1965년 '한일 청구권협정'으로 수혜를 입은 국내 기업 16곳이 기부금을 낼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거론되는 기업들은 "정부 취지에 따라 적극적으로 지원 방안을 검토하겠다", "사회적 합의 이행 과정에 성실히 협조하겠다"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대법원 확정 판결을 받은 15명의 피해자가 받아야 할 배상금은 지연 이자까지 합쳐 약 40억원 규모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<br /><br />피해자 지원 재단 관계자는 "적법 절차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기업의 기여를 받을지 고민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박진 외교장관은 "일본 기업이 자발적인 기여로 호응해 오기를 기대한다"고 말했지만, 현실성은 낮다는 관측이 많습니다.<br /><br />대신 일본제철과 미쓰비시중공업은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 경제단체인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논의 중인 청년 교류를 위한 기금 조성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한편 전경련과 대한상의 등 6개 경제단체는 공동 성명을 내고 이번 배상안이 한일 경제교류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승국입니다. (kook@yna.co.kr)<br /><br />#강제_징용 #배상금 #자발적_기여 #한일경제교류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