골 관절염은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대표적인 퇴행성 관절염이지만, 근본적인 치료제는 없는 실정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바이오 기업이 유도만능줄기세포를 이용해 간단히 주사 형태로 주입할 수 있는 골 관절염 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어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이성규 기잡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손상해 발병하는 퇴행성 관절염인 골 관절염. <br /> <br />골 관절염은 60대 이상 노인 3명 가운데 1명꼴로 발병하지만, 현재까지 근본적인 치료제는 없습니다. <br /> <br />국내 바이오 기업이 건강한 사람의 혈액세포로부터 연골세포를 분화하는 방식으로 골 관절염 세포 치료제를 개발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혈액세포를 줄기세포와 같은 분화능력을 갖춘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든 뒤, 이를 연골세포로 분화했습니다. <br /> <br />연골세포를 단일 세포 형태로 주입하면 1주일 안에 연골세포가 사라지지만, 연구진은 세포 덩어리 형태로 만들면 사라지지 않는다고 설명했습니다. <br /> <br />[남유준 / 연골세포 치료제 개발회사 연구소장 : 연골 자체가 3차원 형태로 있고 생체와 비슷하게 흉내 낸 상태로 보면 되고요. 실제로 같은 세포 수로 2차원 세포와 3차원 세포로 연골 분화를 했을 때 3차원 형태가 더 우수한 성능을 보였습니다.] <br /> <br />유도만능줄기세포로 연골세포 치료제를 만든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, 개발한 치료제는 무릎 부위에 직접 주사하는 형태입니다. <br /> <br />연구진은 골 관절염을 유도한 개와 돼지 등 동물실험에서 연골 조직이 30% 이상 재생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. <br /> <br />주입한 연골세포가 주변 조직과 결손 부위를 재생하는 원리입니다. <br /> <br />[주지현 / 연골세포 치료제 개발회사 대표이사 : 첫 번째는 활발한 바이오 생합성 물질을 많이 냅니다. 주변 조직을 자극해서 연골 재생이 간접적으로 일어나도록 만듭니다. 또 한 가지는 결손 부위에 직접 붙습니다. 연골재생에 직접 관여합니다.] <br /> <br />연구진은 동물실험을 바탕으로 내년 초 인체 임상시험에 진입할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현재 골 관절염 치료의 최후 수단은 티타늄 소재의 인공 관절 수술입니다. <br /> <br />간편한 주사 형태의 골 관절염 치료제가 상용화될 경우 환자의 편의성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. <br /> <br />YTN 사이언스 이성규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성규 (sklee95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30315012640979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