4년 만에 지소미아 완전 정상화 선언…대북 공조 가속화 전망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한일 정상이 4년간 어정쩡한 상태에 있었던 군사정보보호협정, 지소미아의 정상화를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핵미사일 위협을 갈수록 고도화하는 북한에 대한 한일간 대응 공조가 더욱 긴밀해 질 것으로 예상됩니다.<br /><br />이어서 한상용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총리는 정상회담을 마친 뒤 '대북 공조 대응'을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윤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계기로 지소미아의 '완전 정상화'를 공개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"조금 전 정상 회담에서 지소미아 완전 정상화를 선언했습니다. 그래서 북핵 미사일 발사와 항적에 대한 정보를 양국이 공유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된다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기시다 총리도 대북 억지력 강화에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.<br /><br />"북한 대응에 있어서는 미일 동맹, 한미 동맹의 억지력, 대처력을 한층 강화하고 한일, 한미일 3국 간에서도 안보협력을 강력히 추진해나가는 것의 중요성을 확인했습니다."<br /><br />사실 한일 군사 당국은 기존에도 지소미아에 따라 정보를 교환했지만, 이 협정은 '종료 통보 효력 정지'란 불안정한 상태로 운영돼 왔습니다.<br /><br />문재인 정부가 2019년 8월 일본의 수출규제 조치에 대응해 지소미아 종료를 통보하고도 미국 압박 등으로 인해 3개월 뒤 해당 통보의 효력을 정지한 데 따른 겁니다.<br /><br />그러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지소미아를 형식적 측면에서 원상태로 복구키로 한 겁니다.<br /><br />대통령실 관계자는 "국방부가 외교부를 통해 일본 측에 '종료 통보 철회' 서신을 보내는 절차 등이 이에 해당하는 조치"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갈수록 고도화하는 북한의 핵·미사일 위협 속에 이번 지소미아 정상화는 한일간 대북 공조를 긴밀하게 해 한미일 3국간 안보 협력 관계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상용입니다.<br /><br />gogo213@yna.co.kr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