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중소형 은행 위기에 대규모 유동성 지원책이 발표됐지만 불안감은 쉽게 진정되지 않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실리콘밸리은행 모기업이 파산보호를 신청하고, 은행주들의 폭락이 이어지는 등 글로벌 금융쇼크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증시는 일제히 하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권준기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실리콘밸리은행이 파산한 지 일주일이 지나 모기업이었던 실리콘밸리은행 파이낸셜그룹이 파산보호를 신청했습니다. <br /> <br />272조 원 자산을 보유한 SVB파이낸셜그룹은 2008년 워싱턴뮤추얼 이후 파산보호를 신청한 최대 규모 금융기관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연방예금보험공사가 파산 관재인이 된 실리콘밸리은행은 이미 모기업에서 떨어져 나와 이번 파산보호 대상에서는 빠졌습니다. <br /> <br />SVB파이낸셜그룹은 법원 승인을 받아 채무이행을 중지하고 자산 매각을 통한 기업 정상화 절차를 밟게 됩니다. <br /> <br />위기설에 휩싸인 퍼스트 리퍼블릭 은행은 자금 지원 발표 하루 만에 주가가 다시 32% 폭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대형은행 11곳이 39조 원을 예치하는 유동성 지원에 나서기로 했지만 <br /> <br />투자 등급이 하향 조정되면서 불안감이 다시 커진 겁니다. <br /> <br />일부 투자회사는 퍼스트 리퍼블릭의 주가가 5분의 1로 곤두박질할 거라며 위기감을 부채질했습니다. <br /> <br />크레디트 스위스 은행도 정부의 70조 원 자금 투입 발표에도 불구하고 주가가 8% 폭락했습니다. <br /> <br />로이터통신은 독일 도이체방크와 프랑스 소시에테제네랄 등 주요 글로벌 은행 4곳이 크레디트 스위스와 거래하지 않기로 했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 /> <br />은행발 위기감 확산에 뉴욕 증시는 다우와 S&P500이 1% 이상 하락하는 등 일제히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. <br /> <br />뉴욕타임스는 은행 위기로 대출이 어려워지면 중소기업 돈줄이 막히고 결국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다는 보도를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언론은 이번 은행 사태가 표면적으로는 유동성 문제이지만 근본적으로는 가파른 금리인상에 따른 은행 시스템 붕괴라고 진단해 다음 주 회의를 앞둔 연준의 어깨를 더 무겁게 만들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기 (j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3031809175878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