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자발적 고립' 취약층…"새 접근법 필요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회경제적 약자들이 외부와 단절된 채 살아가다 사망 후 뒤늦게 발견되는 일이 잇따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들 가운데는 자발적으로 사회적 지원을 거부하는 사례도 적지 않은데요,<br /><br />전문가들은 새로운 접근방법을 주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한채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난 11일 서울 동대문구에서 숨진 지 열흘 넘어 발견된 중증장애인 40대 조카와 70대 기초생활수급자 이모.<br /><br />복지 담당 공무원이 종종 방문해 복지 서비스를 안내했지만, 모두 거절하며 고립을 택했습니다.<br /><br />2년 전 서울 도봉구에서도 기초생활수급자 노부부가 숨지고 한참 뒤에서나 발견됐습니다.<br /><br />각각 알코올중독과 조현병이 있던 부부는 간호사와 사회복지사가 방문할 당시 문을 열어주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숨지고 뒤늦게 발견되는 취약계층 중에는 도움받기를 원치 않는 이들이 적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관련 공공기관 연구 결과에 따르면, 어려움에 부닥쳤을 때 도움받을 곳이 있어도 원치 않는 사람들이 전체의 8%, 도움받을 곳도 없고 도움을 원하지도 않는 이들은 12%를 차지했습니다.<br /><br />다섯 명 중 한 명은 스스로 고립을 택하는 겁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도움을 거부하는 원인 먼저 파악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 /><br /> "수치심, 체념, '어차피 신청해봤자 못 받을 것이다'…그런 유형을 카테고리화해서 어떤 식으로 서비스를 개선할 것인가 해결책 논의를 해야죠."<br /><br />꾸준한 설득 작업을 위해서는 복지 담당 공무원의 역할이 커져야 한다고 조언합니다.<br /><br /> "타 기관과의 연계 등 여러 방법이 고민되어야 합니다. 복지 담당은 전문성을 가진 사회복지 전담 공무원으로 배치돼야 하며…"<br /><br />주변 이웃들이 방문해 복지에 대한 거부감을 줄여가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합니다.<br /><br /> "긴급복지지원단이나 이런 데서도 민간 참여자 분들 많이 활용하고 있거든요. 이웃분들 통해서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해요."<br /><br />기존의 복지 사각지대 발굴 시스템에 한계가 드러나고 있는 만큼 복지 사각의 개념을 다시 세워, 공적 지원을 늘려야한다는 지적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한채희입니다. (1ch@yna.co.kr)<br /><br />#자발적고립 #복지사각지대 #사회복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